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뫼비우스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뫼비우스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뫼비우스 증후군 (Möbius syndrome) 은 1888년 Mobius가 기술하였다.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이다. == 원인 == * 선천 :- 임신 초기에 저산소에 의한 신경 조직 손상 :- 염색채 1과 13 사이의 전좌와 같은 염색체 이상 :- 임신 중 thalidomide, benzodiazepine, cocaine, prostaglandin E1 등의 약물 복용 * 후천 : 소뇌 벌레의 입쪽에 위치한 속질모세포종을 수술하거나 방사선 치료를 할 때 발생 == 임상 소견 == * 눈 소견 :- 외향신경 마비와 외전 장애, 내사시 :- 내전 장애 : 내직근이 심하게 구축되어 생기며, 양측으로 발생할 때는 두눈 수평주시 마비가 나타난다. :- 삼차신경 마비, 활차신경 마비 :- 토안, 노출 각막염 : 벨 현상은 볼 수 있다. :- 두눈 먼거리증, 안성 사경, 약시 * 전신 소견 :- 사지 이상 : 내반첨족, 단지증, 합지증, 손발의 선천 절단 :- 연하와 언어 장애 : 삼차신경 마비, 혀인두신경 마비, 혀밑신경 마비, 혀의 위축(작은혀증) :- 두개안면 이상 : 안면신경 마비(감정 표현을 할 수 없어 마스크를 쓰고 있는 듯 무표정하고, 입은 반쯤 열려 있다. 대부분의 환자가 정신지체 같이 보이나 감정 표현의 장애일 뿐이며, 10%만이 경한 정신지체가 있다.), 작은턱증, 치아 이상 :- 내분비계와 신경조직 이상 : 성선기능 저하증, 요붕증, 뇌간 이상, 뇌하수체 난장이증 :- 그 외 : 오른심장증, 가슴근과 갈비뼈 형성 부전 == 비수술적 치료 == 대부분에서 토안, 각막의 지각 감소나 각막 노출로 각막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잘 때 안연고를 점안하거나 테이프를 눈꺼풀에 붙여 각막 노출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br />치료할 때는 전신 장애와 언어 장애를 고려하여야 한다. == 수술적 치료 == 수술로 양안 단일시를 얻을 수는 없으나 외형적인 목적으로 수술할 수 있다. * 제일 눈위치에서 내사시가 있을 때 : 두눈 내직근 후전술 또는 내직근 후전술과 외직근 절제술 * 내직근이 구축되고 외직근이 매우 약하다면 : Hummelsheim 수술과 같은 근전위술 * 수직 사시가 있으면 : 수직근 후전술과 절제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뫼비우스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뫼비우스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