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조절 인공수정체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조절 인공수정체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조절 인공수정체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ccommodative IOL)'''{{백내장}} == 원리 == 조절 능력의 상실은 약 55세경에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나<ref>Charman WN. Restoring accommodation to the presbyopic eye : how do we measure success? ''JCRS''. 2003 Dec;29(12):2251-4. [https://pubmed.ncbi.nlm.nih.gov/14709276/ 연결]</ref>, 섬모체근의 수축력은 대체로 일생동안 유지되며<ref>Swegmark G. Studies with impedance cyclography on human ocular accommodation at different ages. ''Acta Ophthalmol (Copenh)''. 1969;47(5):1186-206. [https://pubmed.ncbi.nlm.nih.gov/5395863/ 연결]</ref><ref>Bacskulin A et al. [US biomicroscopy imaging of accommodative configuration changes in the presbyopic CB]. ''Ophthalmologe''. 1996 Apr;93(2):199-20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8652989/ 연결]</ref><ref>Strenk SA et al. Age-related changes in human ciliary muscle and lens : a MRI study. ''IOVS''. 1999 May;40(6):1162-9. [https://pubmed.ncbi.nlm.nih.gov/10235549/ 연결]</ref> 백내장 제거 후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더라도 섬모체근은 여전히 기능을 유지한다. 조절 인공수정체는 섬모체근의 수축력이 인공수정체에 전달되어 굴절력 변화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있다<ref>Sheppard AL et al. Accommodating IOLs : a review of design concepts, usage and assessment methods. ''Clin Exp Optom''. 2010 Nov;93(6):441-52. [https://pubmed.ncbi.nlm.nih.gov/21182659/ 연결]</ref>. 즉, 섬모체근이 수축하면서 광학부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굴절력이 증가하는 초점 이동 원리에 기초한다. == 분류 == * 단일 광학부 조절 인공수정체 * 이중 광학부 조절 인공수정체 == 종류 == * 1CU * [[Crystalens]] * [[WIOL-CF]] == 장점 == 이론적으로 [[대비 감도]]의 감소 없이 원거리, 중간 거리, 근거리 초점을 이룰 수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백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조절 인공수정체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조절 인공수정체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