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망막하 임플란트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망막하 임플란트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망막하 임플란트''' 는 [[망막 색소상피]]와 양극세포 사이에 미세 광다이오드 이식판을 이식하는 접근법이다. == 장점 == 시자극을 받는 뉴런인 양극세포에서 가까운 곳에 임플란트를 위치하여 전류가 더 적게 필요하며 제한된 좁은 공간에 삽입하므로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사물을 스캔하고 고정하기 위해 안구 운동의 이점을 활용하고 자연적인 안구 움직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단점 == 제한된 망막하 공간에서 전자 장치가 망막 조직에 너무 근접하게 자리하게 되어 뉴런의 열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한 인접 신경 조직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광다이오드의 약한 자극을 증폭시키기 위한 장치가 안구의 공막을 통해 바깥에 존재하게 되는 경우 경공막 절개 등으로 인해 망막하 출혈이나 망막박리의 위험이 높다. == Alpha-IMS/AMS == 대표적인 망막하 임플란트로 안구 내부 파트와 이와 연결된 외부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ref>Stingl K et al. Interim Results of a Multicenter Trial w the New Electronic Subretinal Implant Alpha AMS in 15 Patients Blind from Inherited Retinal Degenerations. ''Front Neurosci''. 2017 Aug 23;11:445. [https://pubmed.ncbi.nlm.nih.gov/28878616/ 연결]</ref>.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망막하 임플란트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망막하 임플란트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