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가쪽 안와 절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가쪽 안와 절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가쪽 안와 절개술 (lateral orbitotomy)</b> 은 안와 앞쪽의 위치한 일부 종양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안와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안와 수술의 기본 술기로서 매우 중요하다.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1888년 Krolein에 의해 처음 고안된 후 여러가지 변형이 있어 왔지만, 피부 절개선의 모양은 대표적으로 세 가지가 많이 사용된다. * 제거되는 안와뼈의 위치를 따라 이루어지는 긴 S자 모양의 절개선 (Stellard-Wright incision) * 가쪽 눈구석 절개법을 귀쪽으로 연장한 절개선 (Berke incision) * 쌍꺼풀선 절개선을 귀쪽으로 연장한 절개선 : 수술 후에 비교적 흉을 적게 만들면서 수술 시야의 확보가 용이하여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적응증 == * 안와 후방에 존재하는 종양 * 눈물샘 종양 == 수술 방법 == # 환자 준비 : 전신 마취가 이루어지면 역 Trendelenberg 위치를 취하게 함으로써 얼굴과 안와의 가쪽이 노출되게 한다. 위쪽 가쪽 안와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선을 표시한 후 표시한 부위에 에피네프린이 포함된 국소 마취제를 주사한다. # 절개 # 골막 노출 # 골막 절개 # 골 노출 # 골 절개와 제거 # 안와 골막 절개와 박리 # 안와 조직 박리 # 종양의 제거 # 창상 봉합 == 부작용 및 합병증 == * 실명 혹은 시력 감퇴 : 무리한 조작이나 수술 도중 또는 수술 후 발생한 출혈, 부종 등으로 시신경이 손상 * 외안근 마비, 눈꺼풀 처짐, 뇌척수액 누출 그러므로 수술자는 항상 수술 원칙에 입각하여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고 최소한의 조작으로 수술을 하여야 한다. 또한 수술 후에 안구 돌출, 심한 부종, 동공 반사 이상, 시력 감퇴 등 이상 소견이 보일 때는 주저하지 말고 초음파 혹은 CT 촬영을 시행하여 돌발 상황에 빨리 대처할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
가쪽 안와 절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가쪽 안와 절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