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고주파 각막 성형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고주파 각막 성형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고주파 각막 성형술 (conductive keratoplasty, CK)''' 은 각막에 부분적으로 열을 가하여 각막의 변형을 유발하는 열 각막 성형술 (thermokeratoplasty) 의 한 종류로 40세 이상의 환자에서 원시 교정을 목적으로 미국 FDA의 허가를 받은 시술이다<ref>McDonald MB et al. Conductive keratoplasty for the correction of low to moderate hyperopia : U.S. clinical trial 1y results on 355 eyes. ''Ophthalmology''. 2002 Nov;109(11):1978-89; discussion 1989-90. [https://pubmed.ncbi.nlm.nih.gov/12414402/ 연결]</ref>. == 원리 == 고주파 에너지 (radiofrequency energy) 를 각막 주변부 기질에 직접 전달하여 기질의 콜라겐 수축을 유발함으로써 중심부 각막 곡률을 증가시켜 굴절력의 증가를 유도한다<ref>최재광 등, 노안 교정 고주파 각막 성형술을 이용한 단안시 치료의 임상 결과, ''JKOS'' 2012;53(11):1577-158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541 연결]</ref>. == 적응증 == 단순 원시의 교정은 물론이고 [[라식]]이나 PRK치료 후 발생한 유발 원시, 난시 치료에도 적용되고 있다<ref>Stahl JE. Conductive keratoplasty for presbyopia: 1-year results. J Refract Surg. 2006 Feb;22(2):137-44. doi: 10.3928/1081-597X-20060201-10. PMID: 16523831.</ref>. == 연구 결과 == 2007년 발표된 연구에서 노안 교정을 목적으로 비주시안 단안에 시술했을 때 수술 후 1년까지 근거리 나안 시력이 89%에서 J1 이상을 보였으나 3년째는 78%에서 J3 이상으로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ref>Stahl JE. Conductive keratoplasty for presbyopia : 3y results. ''JRS''. 2007 Nov;23(9):905-10. [https://pubmed.ncbi.nlm.nih.gov/18041244/ 연결]</ref>. 또한 더욱 장기간 경과 관찰을 하였던 다른 연구에서도 원시성 퇴행이 확인되어 최근에는 거의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다<ref>Ehrlich JS et al. Regression of effect over LT FU of conductive keratoplasty to correct mild to moderate hyperopia. ''JCRS''. 2009 Sep;35(9):1591-6. [https://pubmed.ncbi.nlm.nih.gov/19683158/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고주파 각막 성형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고주파 각막 성형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