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기저 선형 침착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기저 선형 침착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기저 선형 침착물 (basal linear deposit; BLinD)'''{{망막}} 은 RPE의 바닥쪽 기저막과 브루크막의 내측 콜라겐층 사이에 얇은 미만성 소수포성 과립성으로 침착되는데<ref>Green WR et al. AMD histopathologic studies. The 1992 Lorenz E. Zimmerman Lecture. ''Ophthalmology''. 1993 Oct;100(10):1519-35. [https://pubmed.ncbi.nlm.nih.gov/7692366/ 연결]</ref> [[연성 드루젠]]도 이층에 축적되므로<ref>Wenick AS et al. AMD : non-neovascular early AMD, intermediate AMD, and GA. In: Schachat A, ed. Ryan's Retina, 6th ed. Edinburgh: Elsevier, 2017; v.2</ref> 때로는 미만성 드루젠 (diffuse drusen)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ref>Curcio CA et al. The oil spill in ageing Bruch membrane. ''BJO''. 2011 Dec;95(12):16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1890786/ 연결]</ref>. 초기 AMD에서 관찰되며<ref>Curcio CA et al. BLinD and large drusen are specific for early ARM. ''Arch Ophthalmol''. 1999 Mar;117(3):329-39. [https://pubmed.ncbi.nlm.nih.gov/10088810/ 연결]</ref>, 신생혈관의 전구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ref>Löffler KU et al. BLinD in the human macul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86;224(6):493-501. [https://pubmed.ncbi.nlm.nih.gov/3792844/ 연결]</ref>. 기저 선형 침착물은 RPE와 브루크막의 부착부 사이에 존재하여 이 둘을 분할하는 공간을 만들게 되고, 이 공간에 장액성 혹은 혈성 RPE 박리를 생기게 하거나 [[맥락막 신생혈관|CNV]]가 자라들어올 수 있게 한다<ref>Green WR et al. Senile macular degeneration : a histopathologic study. ''Trans Am Ophthalmol Soc''. 1977;75:180-254. [https://pubmed.ncbi.nlm.nih.gov/613523/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기저 선형 침착물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기저 선형 침착물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