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낭폐쇄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낭폐쇄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낭폐쇄 증후군 (capsular block syndrome; CBS)</b> 은 전낭 절개연이 삽입된 인공수정체의 광학부를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남아있던 [[점탄 물질]]이 그 뒤에 남을 수 있다. 이 점탄 물질의 삼투압에 의해 수분이 저류되고 부풀어 오르는데, 인공수정체가 밸브 역할을 하면서 수분이 유입만 되고, 유출되지 않는 경우 두꺼운 점탄 물질과 방수의 혼합물이 고이게 된다. == 역학 == 대부분 수술 직후 발생하지만, 수술 5년 후까지도 가능하다. == 원인 == 인공수정체와 후낭 사이에 [[점탄 물질]]이 남아있어 발생한다. == 위험 인자 == 모든 형태의 인공수정체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판(plate) 형태의 인공수정체에서 더 잘 발생한다. == 임상 소견 == * 예상하지 못한 <span style='color:blue;'>근시</span>의 발생 * 전방의 얕아짐 * 광학부 및 홍채의 앞쪽 이동 * 광학부와 후낭 사이의 공간 증가 * 지속되는 포도막염 == 약물적 치료 == 예방적인 점안 스테로이드 제제와 NSAID, 녹내장 치료제 등을 써서 일시적으로 늘어난 염증 반응 및 안압 상승에 대비하여야 한다. == 레이저 치료 == * Nd:YAG 레이저 <span style='color:blue;'>전낭 주변부 절개술</span> (인공수정체 가장자리보다 주변부) * 산동 잘 안 되어 갖아자리 확인 안되면 후낭 절개술 == 예방 == 인공 수정체 삽입 이후 뒤쪽의 점탄 물질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낭폐쇄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낭폐쇄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