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뇌척수액 비루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뇌척수액 비루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 비루 (cerebrospinal fluid rhinorrhea; CSF rhinorrhea) == 역학 == 안와 상벽 골절, 코뼈-안와뼈-벌집뼈 골절 등 벌집굴의 천정부인 체모양판(cribriform plate)과 종이판의 골절에서 주로 빌생한다. == 임상 소견 == 대부분의 환자에서 외상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히며, 지속적으로 맑은 분비물이 코 안에서 관잘되고, 목을 굽히거나 경정맥을 압박할 때 분비물이 증가하면 의심하여야 한다. == 검사 및 진단 == 혈액이 섞인 뇌척수액을 여과 종이에 떨어뜨렀을 때 중앙 부위에는 혈액에 의해 착색된 부위가, 주변으로 맑은 뇌척수액에 의해 착색된 부위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한 수 있다(halo 또는 double ring sign). 뇌척수액 비루의 확진을 위해서는 분비물의 포도당 농도 검사(30 mg/ml 이상), β2 transferrin 분석 등을 시행한다. == 예후 및 합병증 == 대부분의 경우에 2주 이내에 저절로 호전되지만, 뇌믹염이나 뇌농양이 발생할 위힘성이 있으며, 특히 두개강내에 공기가 관찰되는 경우에 합병증의 위험성이 더 높다.
뇌척수액 비루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뇌척수액 비루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