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단순 방사선 촬영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단순 방사선 촬영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단순 방사선 촬영 (simple radiograph)'''{{안과검사}} == 촬영 방법 == * 전후위 및 후전위 촬영 : 머리뼈 및 안면 전체의 파악에 적당하다. 즉 머리뼈 원개부, 봉합선, 지압흔, 국소적인 비후, 골절선, 전이, 결손, 석회화 등의 관찰에 적당하다. 그러나 안와부에 관자뼈 바위 꼭지 부분 및 중간 머리뼈 어귀가 중첩되어 안와의 상세한 관찰은 어렵다. * Caldwell 법 : 안와의 후전위 법으로 환자의 이마와 코가 필름에 향하게 하여 가상선인 canthomeatal line에 직각으로 한 후 X-선을 15~25˚의 각도로 촬영한다. * Water 법 : Canthomeatal line과 45˚ 경사, 즉 관자뼈 바위 꼭지 부분 및 중간 머리뼈 어귀가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코곁굴 검사에 제일 도움이 되며 안와 하벽의 병변 즉 안와 바닥 골절, 안와 외벽, 위턱굴, 이마굴 바닥 부분, 앞벌집굴 등의 관찰이 용이하다. * 측면 촬영법 : 머리뼈 전체를 옆에서 관찰하는 것으로 옆 얼굴에 평행하게 필름을 대고 바깥귀길 바로 앞에서 방사선을 필름에 수직으로 투사한다. 머리뼈관의 형상, 봉합, 터어키안(sella turcica), 나비뼈의 관찰 및 안와의 상하 및 후벽을 관찰할 수 있다. 이물의 위치 파악에 많이 이용되며 나비굴염, 안와 근부와 안와벽이 잘 나타난다. 그러나 좌우 안와가 중첩되어 안와 하벽의 골절의 진단에는 X선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눈신경관 촬영법 (optic foramen view) : 직경 약 4.8mm, 길이 약 7.2mm의 눈신경관은 외하방에서 내상방으로 거의 직선으로 주행한다. 이 눈신경관의 축이 필름면에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켜 촬영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안과검사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단순 방사선 촬영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단순 방사선 촬영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