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레프숨병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레프숨병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레프숨 병 (Refsum disease)'''{{망막}} 은 진행형의 신경학적 이상, 청각 소실, 간질환, 근골격계 이상과 색소성 망막병증이 나타나는 두 가지의 과산화소체 (peroxisome) 질환을 지칭한다. == 분류 == === 연소성 (infantile Refsum disease, IRD) === Scott 등은 1982년에 두개 안면부 기형, 심한 근긴장 저하, 정신운동지연, 출혈성향 질환, 생후 6개월에 심한 간기능 부전, 1년 이내에 심각한 청력 소실이 있는 IRD 를 보고하였다. 과산화소체 생성의 이상 질환이며 영아기에 나타나는 Zellweger 스펙트럼 질환에 속한다. 눈의 이상은 안진, 시력 저하, 흰점 망막변성이 중간 주변부 망막에서 관찰되고 시세포 위축과 백내장 등이 관찰된다. ERG는 초기부터 심각한 이상이 관찰되고 음전위 (electronegative) 를 보이기도 한다. 이 질환은 주로 10~20대의 나이에 생명을 잃는 경우가 많다. === 성인 (adult Refsum disease, ARD) === Heredopathia atactica polyneuritiformis 로 불리는 이 질환은 1946년에 보고되었으며, 과산화소체 효소 기능의 이상으로 발생하고 성인이 되어서 나타난다. 초기 증상은 운동 실조증, 사지의 위약증이 나타나고 늦은 유년기에 야맹증이 나타난다. 진행성의 말초 신경병증, 말초성 근육 위축과 심장의 전도 장애가 나타난다. 다른 흔한 이상으로는 감각 이상, 후각 상실증, 난청, 피부의 비늘증, 뼈끝 형성 이상 등이 나타난다. 눈의 이상으로는 백내장, 동공 수축과 망막병증이 나타난다. 야맹증은 10대에 나타나고 뒤이어 주변부 시야 장애가 나타나며, 색소 망막변성은 20대까지 잘 안 나타난다. ERG는 대부분에서 심각하게 저하되어 있다. 파탄산 산화 작용의 장애로 혈중, 뇨중 피탄산의 농도는 크게 증가되어 있다. 뇌척수액의 단백질 농도도 증가되어 있다. 유소년형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소체 생합성의 장애라기 보다는 ''PHYH''가 인코딩하는 phytanoyl-coenzyme A hydroxylase (PAHX) 의 장애나 ''PEX7'' 돌연변이에 의한 ''PTS2'' 수용체의 이상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낙농 제품에 많은 피탄산의 섭취 제한은 병의 진행을 늦추고 비늘증이나 신경학적 장애, 심장 장애를 호전시킨다. 시력이나 청력의 호전은 제한적이고 다른 징후를 늦추는 것으로 보인다.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유전 양상을 띠고 있으며, 관여하는 유전자는 ''PEX1'', ''PEX7'', ''PXMP3'', ''PAHX'', ''PHYH''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역시 망막 색소변성증에도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 병태 생리 == 과산화소체는 세포질에 단세포막 부착 세포소기관 (single membrane bound organelle) 으로 대부분의 유핵세포에 존재한다. 과산화수소 분해 효소 (catalase), 수산화효소 (hydroxylase), 산화효소 (oxidase) 같은 효소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여러 산화 반응에 관여한다. 혈청 피탄산 농도가 연소성에서는 중등도로, 성인형에서는 크게 증가되어 있다. == 비수술적 치료 == phytanic acid의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레프숨병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레프숨병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