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르 포트 골절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르 포트 골절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르 포트 골절 (Le Fort fracture)'''{{성형안과}} 1901년 Le Fort는 얼굴 골격에서 가장 강한 기둥 역할을 하는 부분을 'pillars of resistance'라고 명명하였고, 얼굴에 발생하는 골절은 이렇나 지주 사이의 선을 따라 특징적으로 발생함을 밝혀 위턱뼈에 발생하는 골절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Pillars of resistance' 의 개념은 얼굴골격 의 버팀목 (buttress) 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버팀목은 코안,안와,코곁굴을 지지하는 수직의 기둥으로 앞쪽 얼굴 버팀목은 안쪽 버팀목 (코-위턱 버팀목) 과 가쪽 버팀목 (관자-위턱 버팀목) 을 이야기하며, 뒤쪽 얼굴 버팀목은 날개판(pterygoid plate)을 따라 수직으로 구성된다. 이런 버팀목 개념은 실제 구조물을 일컫는 말은 아니지만, 얼굴 골절을 치료하는데 기본이 되는 개념이다. == 분류 == * Le Fort I 골절 (횡골절) : 골절선이 위턱뼈의 하단, 위턱굴의 전외측벽, 날개판의 아래 1/3을 횡단하여 발생하여, 위턱뼈의 아래쪽과 얼굴 중앙부가 분리된다. 골절선이 안와로 침범하지 않으며, 주증상은 부정 교합이다. * Le Fort II 골절 (추체형 골절) : 골절선이 얼굴 중앙부의 코뼈-위턱뼈가 광대뼈와 안와에서 분리되는 선으로 나타난다. 광대뼈 자체는 침범되지 않고 정상적이며, 골절선이 안와의 앞쪽을 지난다. * Le Fort III 골절 (두개-안면 분리) : 골절이 위턱뼈와 광대뼈가 두개골과 분리되는 선으로 나타난다. 즉 골절선은 광대-이마뼈 봉합선, 안와 바닥, 안와 내벽, 코-벌집뼈 봉합선, 위턱-이마뼈 봉합선으로 나타난다. II 골절에 비하여 좀더 뒤쪽, 위쪽으로 안와를 지난다. 양쪽으로 발생한 Le Fort III 골절은 두개-안면 분리를 일으킨다. == 임상 소견 == 한 쪽에 발생한 경우에는 같은 쪽에 광대래 골절이나 다른 형태의 르 포트 골절이 동반되는 복합 골절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한 쪽에 Le Fort III 골절이 있으면서 반대편에 Le Fort II 골절이 있는 경우가 흔하다. 또 약 10%의 Le Fort 골절 환자에서 구개의 시상 방향 (sagittal) 분리 골절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구강 내 검사와 치아 교합상태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위턱뼈의 골절이 있는 경우 골절 부위에 따라 통증, 코 출혈, 부종, 복시, 안와 아래 가장자리의 계단상 변형, 얼굴의 비대칭, 부정 교합 및 구강내 열상, 뇌척수액 비루 등이 나타나며, 특히 치열궁의 운동성은 골절 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소견이다. 부분 골절이나 골절 부위가 압착된 경우에는 운동성이 없을 수 있으므로 이 때는 부정 교합으로 골절 여부를 확인한다. 모든 르 포트 골절은 해부학적으로 뒤쪽으로 연장되면서 날개판의 기저에서 머리백와 얼굴벼가 분리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CT 특히 3차원 영상은 Le Fort 골절을 진단하고 수술을 계획하는 데 필수적이다. == 수술적 치료 == 가장 중요한 치료 원칙은 위턱뼈 중앙의 높이와 돌출 부분을 교정하고, 안와뼈와 코뼈 골절 및 부정 교합을 교정하는 것이다. * Le Fort I : 일반적으로 정복술을 시행한 후 턱사이 고정술만으로 고정할 수 있지만 윗입술 점막과 잇몸 경계부 절개를 통해 골절부를 노출한 후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 더 좋다. * Le Fort II : 턱사이 고정술을 시행한 다음 골절 부위를 노출시켜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다. 이 때 코-벌집뼈 골절을 동반한 경우가 많으므로 적응증이 되면 함께 치료해야 한다. * Le Fort III : 다른 형태의 골절을 동반하는 복합 골절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지금까지 기술된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얼굴 버팀목 역할을 하는 내측(코-위턱) 버팀목과 외측(광대-위턱) 버팀목을 정복 후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성형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르 포트 골절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르 포트 골절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