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맥락막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맥락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맥락막 (choroid)'''{{망막}} 은 우리 몸에서 단위 무게,단위 시간 당 혈류량이 가장 많은 곳 중의 하나로,단위 무게 당 맥락막 혈류량 은 콩팥 혈류량의 4배 이상이며,눈 순환에 관여하는 총 혈액양의 70% 이상이 맥락막 혈관으로부터 공급된다. 맥락막의 독특한 구조는 여러 기지 기능을 갖고 있는데,열을 분산시키고 망막 색소 상피층 및 밍막 바깥층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여 안저의 색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한다. 맥락막은 포도막의 후반부를 형성하고 있는 혈관이 풍부하고 색소가 많은 조직으로 갈색을 띠며 해면 모양 을 하고 있다. 앞쪽의 거상연에서 뒤쪽의 시신경 유두까지 뻗어 있으며,두께는 뒤쪽이 0.22 mm, 앞쪽은 0.10~0.15 mm이다. 거상연에서는 섬모체로 서서히 바뀌며 맥락막의 외층이 내층보다 먼저 끝난다. 맥락막은 공막과는 결합 조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앞쪽은 수평 방향으로 뒤쪽은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맥락막과 공막은 앞쪽에서 쉽게 박피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잠재적인 공간이 존재하게 되며 이 곳을 맥락막상강 (suprachoroidal space) 이라고 한다. 시신경 유두와는 단단하게 붙어 있으며, 망막 상피 세포는 시세포보다는 맥력막에 더 단단히 붙어 있다. == 발생 == 중배엽과 신경 외배엽에서 분화되어 [[망막 색소상피]]층과 함께 바깥쪽의 신경 외배엽층으로 분화된 것으로 태생 5~7개월 사이에 멜라닌세포가 이동하면서 색소가 침착되기 시작하여 태생 9개월에 완전한 색소 형성이 이루어지며 출생 때 맥락막 모세혈관이 완성된다. == 구성 == * [[맥락막 상강]] (suprachoroid) * [[맥락막 간질|간질]] (stroma) * [[맥락막 모세혈관]] (choriocapillaris) * [[브루크막]] (Bruch's membrane) == 맥락막의 신경계 == 맥락막은 광범위한 신경계를 갖고 있으며,교감 및 부교감 신경이 모두 존재한다. 교감 신경은 지동조절기능을 갖고 있어서 혈류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부교감신경은 맥락막 혈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 부분의 맥락막은 20개의 짧은 뒤섬모체 신경 (short posterior ciliary nerve) 에 의해 지배를 받는디. 짧은 뒤섬모체 신경은 시신경에서 약 3~4 mm 떨어진 곳에서 [[맥락막 상강]]을 통해 맥락막으로 들어가 분포하며 맥락막에 들어가서 즉시 많은 분지를 낸다. 일단 짧은 뒤섬모체 신경이 맥락막에 들어가 면 수초화 (myelination) 가 소실되며 각 신경 다발 (bundle) 은 50~100개의 축삭 (axon) 을 포함하고 있다. 두 개의 긴 뒤섬모체 신경(long posterior ciliary nerve) 은 맥락막 상강에서 수평 경선을 따라 앞쪽으로 가서 분지를 내는데,이러한 분지는 맥락막 앞부분의 일부를 지배한다. 긴 뒤섬모체 신경은 심차신경(trigeminal nerve)의 첫 번째 분지인 안신경 (ophthalmic nerve) 의 분지인 비섬모체 신경 (nasociliary nerve) 과 직접 합쳐지며,짧은 뒤섬모체 신경은 섬모체 신경절 (ciliary ganglion) 을 통과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맥락막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맥락막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