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보스톤 인공 각막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보스톤 인공 각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보스톤 인공 각막 (Boston keratoprosthesis, BKP)'''{{각막}} 은 이전에 Dohlman-Doane 인공 각막으로 알려졌고 Boston KPro ™ 으로도 불리며, Massachusetts Eye & Ear 병원과 Schepens Eye Research Institute가 개발했다<ref>Dohlman CH et al. Prosthokeratoplasty. ''AJO''. 1974 May;77(5):694-70. [https://pubmed.ncbi.nlm.nih.gov/4596032/ 연결]</ref>. 세계에서 가장 흔히 이용되는 장치로, 두 가지 collar button 모양의 PMMA 재질로 되어 있다. {{외부사진 |주소=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8/Boston_Kpro_type_1_Titanium_posterior_plate.JPG/1920px-Boston_Kpro_type_1_Titanium_posterior_plate.JPG |제목=보스톤 인공 각막 |출처=wikipedia.org }} == 분류 == * 1형 (BKP1) : 2개의 관 사이에 기증 각막 이식편이나 환자 자신의 각막이 끼어 있는 형태이다. * 2형 (BKP2) : 결막 반흔이 심하거나 심한 각질성 건성안이 있는 환자의 경우 수술적으로 봉합한 눈꺼풀을 통해 삽입할 수 있도록 렌즈의 앞쪽을 확장시킨 형태이다. == 적응증 == * 동종 각막 이식 거부 * 동종 각막 이식 성공률을 저하시킬 만한 심한 각막 신생 혈관이 동반된 혼탁 * 무홍채증<ref>Akpek EK et al. Outcomes of BKP in aniridia :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AJO''. 2007 Aug;144(2):227-231. [https://pubmed.ncbi.nlm.nih.gov/17543875/ 연결]</ref>이나 화학 화상 등에서 나타나는 [[윤부 줄기세포 결핍]]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같은 자가 면역 질환에서 동종 각막 이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ref>Sayegh RR et al. The BKP in SJS. ''AJO''. 2008 Mar;145(3):438-44. [https://pubmed.ncbi.nlm.nih.gov/18207122/ 연결]</ref>, 비자가면역성 각막 혼탁에는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과정 또는 용법 == 수술은 한 단계로 진행되며, 기술적으로 일반적인 각막 이식과 비슷하다. 각막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므로 각막 융해의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외부사진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보스톤 인공 각막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보스톤 인공 각막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