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상대적 동공 차단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상대적 동공 차단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 동공 차단 (relative pupillary block) 은 "동공과 수정체 전면의 접촉성 차단으로 인해 발생되며 [[원발 폐쇄각 녹내장]]을 일으키는 기본적인 요인이다. == 병태 생리 == 동공 차단에 의해 후방에 방수가 고이게 되며, 이어서 주변 홍채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각이 폐쇄됨으로써 안압이 상승하게 된다. == 위험 인자 == <span style='color:blue;'>얕은 전방</span>, <span style='color:blue;'>작은 직경 또는 후면 반경이 짧은 각막</span>을 가진 작은 눈, 그리고 연령 증가로 <span style='color:blue;'>수정체가 두꺼워진 눈</span>에서 잘 생긴다. 또한 <span style='color:blue;'>홍채 두께의 증가</span>와도 밀접한 관계를 자고 있다. == 동공 차단 == 수학적인 모델로 추정하여 보면 중간 정도로 확대된 동공에서는 홍채의 동공 조임근과 동공 확대근의 동공 차단력(pupil-blocking forces) 및 홍채의 신장력이 제일 커지기 때문에 상대적 동공차단이 쉽게 일어난다. 반면, 역설적으로 축동 상태에서도 홍채 후면과 수정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대적 동공차단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br />중등도로 통공이 확대된 채로 일정기간 지속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어두운 상태에서 장시간 노출, 심한 감정적 스트레스 및 국소적 또는 전신적 약물치료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방수 생산의 정도도 주변 홍채 융기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방수 생산은 낮에 3.0㎕/min인 것에 비해 밤에는 *5㎕/min로서 밤에 녹내장 발작이 저절로 개선되기도 하고, acetazolamide 등으로 방수생산을 감소시킴으로써 주변 홍채 융기가 감소되기도 하며, 반대로 아드레날린 전달체에 의한 방수 생성 증가로 스트레스성 급성 녹내장이 야기되기도 한다.
상대적 동공 차단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상대적 동공 차단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