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세팔로스포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세팔로스포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b> 은 페니실린과 마찬가지로 β-락탐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포도구균이 분비하는 페니실린 분해 효소 (penicillinase) 에 내성을 갖기 위해 핵 부위에 7-aminocephalosporanic acid를 가지고 있다. β-락탐 계열의 항생제는 점안약으로 상품화되지 않았는데, 용액 상태에서는 불안정하여 수 일 혹은 수 주 내에 분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안약으로 사용할 때는 4~5일마다 새로 만들어 사용해야 한다. == 종류 == * 세파졸린 (cephazolin) : 그람 양성균에 우수한 항균력을 발휘하며 점안 시에 독성이 적어 세균 각막염에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1세대 제제이다. 주로 그람 음성균에 항균 범위를 갖는 다른 약물과 병용한다. * 세프타지딤 (cephtazidime) : 3세대이며 녹농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므로,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나 [[플루오로퀴놀론]]에 내성을 보이는 녹농균 감염에 사용된다. 그람 양성균에도 어느 정도 항균력이 있다. {{참고|각막}}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세팔로스포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세팔로스포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