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스패스 분류법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스패스 분류법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스패스 분류법 (Spaeth classification) 은 [[섀퍼 분류법]] 및 [[샤이에 분류법]]을 더 확대하여 전방각의 넓이 뿐만 아니라 홍채 부착 부위 및 주변 홍채 양상도 전방각의 형태에 포함할 수 있도록 분류한다. == 분류 == * 전방각의 넓이 : 주변 홍채의 1/3 되는 곳에서 접선을 가상하고 섬유주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한다. 넓은 전방각이면 대부분 30˚ 또는 40˚이다. * 홍채의 부착 부위 # A : 섬유주보다 앞 (anterior to meshwork) # B : 쉬발베선 뒤 (behind Schwalbe's line) # C : 공막 돌기 # D : 섬모체 앞면이 보이는 정상 깊이에 부착 (deep angle with visible face of ciliary body) # E : 아주 깊은 곳에 부착 (extremely deep angle) :홍채와 각막이 접촉하는 지점이 일반적인 전방각경 검사 시 공막 돌기였으나, 압박 전방각경 검사 후 섬모체 앞면에서 홍채 부착 부위가 시작한 것을 확인하였다면 (C)D 와 같이 표시한다. * 주변 홍채 양상 # q : 오목한 경우 (queer concave) # p : 편평 (regularly flat) # s : 볼록 (steeply convex) :근래에 주변 홍채 양상을 오목형(concave, q형과 같음), 정상형(regular, r형과 같음), 고원형(plateau, s형 중에서 고원 홍채 양상) 및 가파른형(steep, s형 중에서 전체적으로 볼록한 경우)으로 좀 더 세분화한 분류법이 제시되었다. == 장점 == 일견 복잡하게 보이나 전방각 형태를 세 가지 방향에서 기록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스패스 분류법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스패스 분류법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