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안신경 근긴장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안신경 근긴장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안신경 근긴장 (ocular neuromyotonia)</b> 은 빠른 신경의 발화로 인한 지속적인 외안근의 수축으로, 근막의 이상으로 인한 근긴장증과는 다르다. == 역학 == 양안에도 발병하나 대부분 단안에 나타난다. 동안 신경에 가장 많이 오고 동공 섬유는 대부분 침범되지 않으며 외향 신경, 활차 신경의 순으로 발생한다. == 원인 == 방사선 치료와 연관이 있으며 속목 동맥의 동맥류와 뇌하수체 종양의 방사선 치료 후, [[갑상샘 눈병증]], 해면 정맥동 혈전증이 있을 때 발생하나 특발성인 경우도 있다. == 병태 생리 == 세포외 칼륨의 증가나 ephatic transmission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손상된 신경에서 새로운 축삭이 자라나와 이를 통해 내려가는 신호가 역방향으로 되돌아가고 이것이 또 신호가 되어 새로 자란 축삭을 통해 내려가는 것이 반복되기 떄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일차 동안 신경 협동 운동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 증상 == 저절로 또는 오랫동안 편위 주시를 하고 있을 때 동통을 동반하기도 하는 외안근의 수축으로서 복시가 나타난다. 술을 마신 다음에도 증상이 생긴다고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carbamazepine이 효과가 있다.
안신경 근긴장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안신경 근긴장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