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양상전근 마비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양상전근 마비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양상전근 마비 (double elevator palsy; DEP) 는 상전근인 상직근과 하사근이 모두 마비되어 <span style='color:blue;'>제일 눈위치, 내전, 외전 위치에서 눈의 상전이 심하게 제한</span>되고 그 외의 눈 운동은 정상인 상태이다. == 역학 == 주로 한 눈에 발생한다. == 원인 == <span style='color:blue;'>대부분 선천 질환</span>이나 후천 질환도 있다. * 선천 양산전근 마비 :- 일차적인 하직근 장애 :- 상직근 마비 :- 선천핵상로 병변으로 인한 상전 장애 * 후천 양상전근 마비 :- 동안신경핵 중 반대쪽의 상직근과 하사근으로 가는 핵상로의 병변 (주로 혈관 병변) : 복시가 상전 시 존재하고 동공 이상과 다른 외안근 이상이 동반되기도 하였다. :- 송과샘 부근의 종양 : 뒤맞교차로에 있는 상방 주시 경로 중 한쪽 눈으로 가는 핵상로의 병변 때문 :- 동안신경의 핵아래마비 == 분류 == * 양상전근 마비에 의한 경우 : 견인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나고 근력 검사와 신속 운동이 감소되어 있다. * 하직근 구축에 의한 경우 : 견인 검사에서 양성이며 근력 검사와 신속 운동은 정상이다. * 위의 두 가지가 같이 있는 혼합형 : 견인 검사에 양성, 근력 검사와 신속 운동이 감소되어 있다. == 임상 소견 == <span style='color:blue;'>정상안 주시 때 마비안은 정상 안위 또는 하전되어 있으며 눈꺼풀 처짐</span>이 관찰되고 마비안 주시 때 눈꺼풀 처짐은 없어지며 정상안은 상전되고 주시 때 <span style='color:blue;'>턱을 들어 주시</span>하는 경향이 있다. 눈꺼풀 올림근이 침범되지 않은 거짓 눈꺼풀 처짐이지만 절반에서는 진성 눈꺼풀 처짐을 가지고 있다.<br /><span style='color:blue;'>보통 벨 현상은 있으나 하직근 구축이 심할 경우 없거나 미약</span>하다. 벨 현상과 MRI에서 상직근의 정상 상태는 상직근의 기능이 정상인 것을 말해주며 또 상전 마비와 동시에 벨 현상이 없을 경우에는 상직근과 하사근 마비로 인할 수도 있고 또 하직근의 심한 수축으로 상전 마비와 벨 현상의 이상이 올 수도 있다. == 검사 및 진단 == 필히 신경영상학적 검사가 요구된다. == 감별 진단 == * 안구 아래 부분의 물리적 제약으로 인한 상전 장애 * 안와 바닥 골절 * 외안근의 섬유증 * 갑상샘 눈병증 병변으로 인한 외안근 이상 * 눈 근무력증 * [[만성 진행성 외안근 마비]] * [[브라운 증후군]] * 하직근의 선천 또는 후천 섬유화 * 하직근 이상 부착 * Zinn 공통 힘줄 고리와 눈 뒤 사이의 비정상 덧근육 == 수술적 치료 == 제일 눈위치에서 하사시 또는 상사시가 있을 때, 턱을 들거나 내리는 등의 이상 두위가 있을 때 수술한다. 수술 목표는 다른 마비 사시와 마찬가지로 제일 눈위치에서 양안 단일시를 획득하는 데 있다. * Knapp 수술 : 내직근과 외직근을 수직근 부착부로 전위해준다. 이 때 수직 직근 구축이 있으면 이의 후전술을 병행한다. 수술 후 수술한 눈의 수직 운동이 제한되거나 복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하여 조정 봉합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양상전근 마비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양상전근 마비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