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여과포 감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여과포 감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여과포 감염 (bleb infection) == 위험 인자 == * <span style='color:blue;'>얇은 벽의 여과포를 가진 저안압안</span> == 증상 == 초기 증상은 미미한 <span style='color:blue;'>여과포 주위의 결막 충혈</span>이 있게 되고 어떤 경우에는 안압이 상승될 수도 있는데 만일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결막 충혈이 증가되고 여과포가 <span style='color:blue;'>약간 우유빛 모양</span>을 띄게된다. == 검사 및 진단 == 충혈이 있논 경우 여과포의 투명도와 염증정도, 전방내 세포반응 정도, 유리체의 투명도, 그리고 눈이 수정체안인지 아닌지를 검토해야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약간의 결막염이 있어도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여 여과포 감염과 안내 감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비록 전방이 초기에 투명하더라도 여과포 감염은 치료하여야만 하며 전방 축농이 발생될 때까지 치료가 지연되면 안내염이 초래되어 안구를 보존하는데 너무 늦게 된다. 여과포가 있는 눈은 안내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고 환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며 만일 눈이 충혈되거나 설명할 수 없는 시력 감소가 나타나면 안과 의사에게 즉시 문의 하도록 주의를 준다. 여과포 벽이 앓은 경우에는 콘택트렌즈의 사용을 제한하며, 위생 상태를 청결히 하고 특히 지압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한다. 안내염을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항생제는 없으며 gentamicin 같은 결막 충혈을 일으키는 항생제는 여과포의 성질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피하여야 한다.
여과포 감염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여과포 감염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