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열 화상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열 화상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열 화상 (thermal burn)</b> 은 열에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손상을 말한다. == 분류 == * 화염에 의한 화상 (flame burn) : 불에 의한 것으로 안면과 눈꺼풀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각막 손상은 비교적 드문데, 이는 눈꺼풀의 눈깜박 반사가 즉시 일어나고 눈꺼풀 자체가 어느 정도 열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안면 환상이 매우 심하면 각막 손상도 약 20%에서 발생한다고 하지만, 영구적인 각막 혼탁까지 가는 예는 7% 정도로 흔하지 않다. 각막이 침범되는 경우는 동반된 눈꺼풀이나 전안부 조직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 접촉에 의한 화상 (contact burn) : 역시 드물지만 화염에 의한 화상보다는 흔히 발생하는데, 주로 산업 현장이나 가정에서 뜨거운 쇳조각이나 기름 때문에 일어난다. == 임상 소견 == 접촉하는 물체의 온도, 종류, 접촉 시간, 부위의 네 가지 요소에 따라 좌우되는데, 대부분은 고온에 순간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이다. 임상적으로 접촉 물체의 온도에 따라 두 가지 양상이 나타난다. * 금속이나 유리가 녹은 1,000℃ 이상의 고온 : 각막 심층부까지 손상을 입게 되어 혼탁이 생기고 괴사된 조직이 탈락되면 각막이 얇아지고 각막 확장도 일어난다. * 온도가 낮은 금속 : 눈물의 냉각 기능으로 인해 각막 조직이 보호를 받아서 큰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 비수술적 치료 == 경증의 접촉 화상의 경우 각막 상피 찰과상과 같이 치료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손상이 각막 상피층에 국한되어 있고 24~48시간 내에 후유증 없이 치유된다. 각막 기질 손상이 동반되었으나 경한 경우에는 각막의 굴절도만 변하여 회복이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각막 기질 조직이 괴사하고 안내 조직이 탈출하여 안구 유지가 불가능해진다. == 예후 및 합병증 == 대부분의 경우 어느 정도의 영구적 반흔과 결막 붙음증을 후유증으로 남기고 치유된다. 드물지만 접촉 화상 부위에서 [[편평 세포암]]이 발생한 예도 보고되었다.
열 화상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열 화상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