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외안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외안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외안근 (extraocular muscle; EOM)'''{{사시}}{{신경안과}} 은 눈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으로 4개의 직근과 2개의 사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6개의 근육은 공동 작용을 하며 조화를 이루어 여러 방향으로 눈을 움직인다. 직근은 근육의 주행 경로와 안구 부착부, 눈운동의 방향에 따라 다시 2개의 수평근과 2개의 수직근으로 나뉘며 사근도 2개로 쌍을 이루고 있다. == 종류 및 기능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외안근의 기능 |- !colspan=2| !주기능||이차 기능||삼차 기능 |- |rowspan=2|수평근 |[[내직근]]||내전|||| |- |[[외직근]]||외전|||| |- |rowspan=2|수직근 |[[상직근]]||상전||내회선||내전 |- |[[하직근]]||하전||외회선||내전 |- |rowspan=2|사근 |[[상사근]]||내회선||하전||외전 |- |[[하사근]]||외회선||상전||외전 |} == 골격근과의 차이 == 외안근은 적색근과 백색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조직학적 구조가 다른 골격근과 다른다. * 근섬유는 다른 골격근(예를 들면 볼기근 90~100㎛)보다 <span style='color:blue;'>매우 가늘고</span>(대개 9~17㎛), 다양한 직경의 근섬유가 섞여 있다(3~50㎛). * 모든 근섬유가 기시부에서 부착부까지 같이 뻗어나가는 것이 아니고, 근섬유들이 평행하게 또는 이어서 배열되며 가지를 치듯이 근섬유-근섬유 이음부로 연결되기도 하여서 외안근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근섬유의 수가 양쪽 끝부분에 있는 근섬유의 수보다 많다. * 신경 섬유가 많이 분포하고, <span style='color:blue;'>수축 속도도 매우 빠르다</span>. * 외안근으로 가는 운동 신경은 섬유수가 많아서 매우 두꺼우며, <span style='color:blue;'>신경 분포비(신경섬유 대 근섬유의 비율)은 1:12</span>에 가깝다(골격근 1:300). 이렇게 신경 분포가 풍부한 것은 안구 운동의 섬세한 조절에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 외안근은 골격근에 비해 <span style='color:blue;'>근속 다발이 없어서 근섬유가 쉽게 분리</span>될 수 있으며 혈관과 신경의 분포가 풍부하고 탄력 조직이 풍부하여 미세한 단계적 수축이 용이하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사시
(
원본 보기
)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외안근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외안근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