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이식 거부 반응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이식 거부 반응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각막 이식은 수술 술기의 발달, 기증 조직 관리의 향상, 임상 양상의 평가 및 약물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식편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이식 거부 반응 (graft failure) 은 이식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다. == 역학 == 면역 매개 염증 반응으로, 수술 후 3주째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3년 이후에는 잘 발생하지 않으나, 20년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 위험 인자 == * 젊은 나이 : 수용자의 나이가 젊으면 이식 거부 반응이 잘 발생하며, 특히 40세 이하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 수용 각막에 발생한 혈관 : 특히 기질 부위의 혈관화가 관련 있으며, 2사분면 이상의 각막기질 혈관화가 있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다. * 이전의 이식 실패 과거력 : 특히 거부에 의한 이식 실패가 있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다. * 큰 이식편 크기 (직경) : 기증 조직이 윤부 혈관과 근접하므로 거부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다. 수용 각막 내에 랑게르한스 세포 등의 면역 세포들이 존재해고 거부 반응의 위험이 증가하는데, 각막 화상 등의 고위험 질환에서는 각막의 중심부에 면역 세포들이 증가하므로 거부 반응의 빈도가 높다. * 경계부의 홍채 유착, 느슨한 봉합사 : 혈관화 또는 염증 자극에 의해 거부 반응의 위험이 증가한다. * 수술 전 수용 각막의 염증 : 특히 급성 염증이 있으면 확률이 높아진다. 조직학적으로 수용 각막 내에 면역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 2형 조직 적합성 항원 또는 세포간 유착 물질 등의 항원이 증가하는 경우, 그리고 침윤 세포가 50/mm<sup>2</sup> 이상인 경우 이식 거부 반응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식 수술 전에 스테로이드 또는 다른 항염증제로 염증을 최대한 조절하고 수술하는 것이 권장된다. == 분류 == * 상피 거부 반응 : 상피가 융기된 혼탁한 선이 이식편의 가장자리에서 시작되어 점차 이식편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소견이 특징적이며, 형광 물질이나 로즈-벵갈에 염색될 수 있다. 이러한 선은 염증이 없거나 경도의 염증이 있는 눈에서 주로 발생한다. * 각막 상피하 침윤 : 약 10~15%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0.2~0.5mm 직경의 회백색 침윤들이 이식편에 국한되어 나타난다. 대부분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에 잘 반응하여 침윤이 사라지나, 드물게 미세한 혼탁이 지속될 수도 있다. * 기질 거부 반응 : 이식편의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기질 혼탁이나 침윤이 혈관화와 동반되어 나타난다.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주로 내피 거부 반응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 내피 거부 반응 : 가장 흔한 형태로, 8~37%에 해당한다. 내피 침착물은 이식편에 산재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선 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Khodadoust 선은 특징적인 소견으로, 주변 각막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염증 세포의 흐름이 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 감별 진단 == * 단순 포진 각막 포도막염 * 상피 안내 증식 * α-용혈 연쇄구균
이식 거부 반응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이식 거부 반응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