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인공수정체 탈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인공수정체 탈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인공수정체 탈구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IOL dislocation)'''{{백내장}} 는 흔하지는 않으나 시력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 역학 == 백내장 수술의 합병증으로 0.2~3.0%의 발병률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다<ref name=r2>Gimbel HV et al. Late in-the-bag IOL dislocation : incidence, prevention, and management. ''JCRS''. 2005 Nov;31(11):2193-204. [https://pubmed.ncbi.nlm.nih.gov/16412938/ 연결]</ref>. Pueringer 등<ref>Pueringer SL et al. Risk of late IOL dislocation after cataract surgery, 1980-2009 : a population-based study. ''AJO''. 2011 Oct;152(4):618-23. [https://pubmed.ncbi.nlm.nih.gov/21683329/ 연결]</ref>에 따르면 백내장수술 후 5년마다 인공수정체 탈구가 발생할 누적 위험률이 0.1%, 0.1%, 0.2%, 0.7%로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그리고 술 후 25년 뒤에는 1.7% 정도 인공수정체 탈구 누적 위험률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 원인 == * 조기 탈구 : 수술 중 발생한 섬모체 소대의 파괴 * 후기 탈구 : [[거짓비늘 증후군]] == 위험 인자 == * 고도 근시<ref name=r2 /><ref>Fernández-Buenaga R et al. Late in-the-bag IOL dislocation requiring explantation : RFs and outcomes. ''Eye (Lond)''. 2013 Jul;27(7):795-801; quiz 802. [https://pubmed.ncbi.nlm.nih.gov/23764989/ 연결]</ref> == 치료 == * 인공수정체 홍채 고정 * 전방 인공수정체 삽입 === 인공수정체 공막 고정 === 상대적으로 안전한 술기, 적은 합병증으로 이용되는 술기로 특히 각막병변, 홍채손상, 녹내장이나 전방각의 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효과적이다.<ref>Kjeka O et al. Implantation of SF PC IOL in adults. ''Acta Ophthalmol''. 2008 Aug;86(5):537-42. d[https://pubmed.ncbi.nlm.nih.gov/19175763/ 연결]</ref><ref>Long C et al. Modified technique for SF of PC IOL. ''BMC Ophthalmol''. 2015 Oct 2;15:127. [https://pubmed.ncbi.nlm.nih.gov/26432550/ 연결]</ref>. 안압 상승, [[유리체 출혈]], [[낭포 황반부종]], 인공수정체의 동공 물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백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인공수정체 탈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인공수정체 탈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