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전방 마취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전방 마취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전방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백내장}} 는 최근에 백내장 수술 시 점안 마취를 한 후 추가로 1% lidocaine을 전방내 주입하여 홍채와 모양체의 신경을 추가로 마취시켜 수정체 유화술 중 홍채 조작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ref>Westborg I et al. Intracameral anesthesia for cataract surgery : a population-based study on patient satisfaction and outcome. ''Clin Ophthalmol''. 2013;7:2063-8. [https://pubmed.ncbi.nlm.nih.gov/24204107/ 연결]</ref>. == 방법 == 각막 절개창을 통해 1% 리도카인을 0.3ml 정도 전방 내 주사한다. 에피네프린을 섞는 경우 1:1000으로 나온 앰플을 추가적으로 희석하여 1:100,000~200,000 으로 리도케인과 혼합하여 주사할 수 있다<ref>Kohnen T. Is intracameral anesthetic application the final solution to topical anesthesia for cataract surgery? ''JCRS''. 1999 May;25(5):601-2. [https://pubmed.ncbi.nlm.nih.gov/10330622/ 연결]</ref><ref>Nebbioso M et al. Intracameral lidocaine as supplement to classic topical anesthesia for relieving ocular pain in cataract surgery. ''Int J Ophthalmol''. 2018 Dec 18;11(12):1932-1935. [https://pubmed.ncbi.nlm.nih.gov/30588425/ 연결]</ref>. == 적응증 == * 홍채,섬모체 등 안내 조직의 마취가 부족한 경우 * [[수술 중 홍채 이완 증후군]]이 있는 경우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백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전방 마취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전방 마취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