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전산화 단층 촬영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전산화 단층 촬영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전산화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 장점 == 뼈 조직 뿐만 아니라 연부 조직의 병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검사할 수 있고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며, 방사선 노출도 적어서 반복 시행하여도 생체에 대한 영향이 적다. 또한 횡단면의 구조를 볼 수 있어 인접 구조들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 적응증 == 안구 돌출, 진행성 시력 장애 및 시야 결손, 원인 불명의 눈근육 마비, 눈떨림 등의 눈알 운동 장애, [[시신경 유두 부종]], 시신경 위축, 눈알 내 종양, 외상 후 시력 및 시야 장애, 이물 검사, 사시 약시의 원인 규명, X선에서 보이는 안와 주변의 뼈 병변, 초음파 검사 시 눈알 외 병변이 의심될 때, 두통, 안와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 판독 == 정상안에서 눈알의 각막과 공막은 중등도의 음영으로 원형으로 나타나며 수정체는 약간 진한 음영으로, 유리체는 연하게 조영된다. 안와 내에서 눈신경 및 외안근은 저음영인 주위 지방 조직과 잘 대조되어 나타난다. 두 눈을 비교하여 눈알의 위치, 형태, 눈알 내의 이물 및 종양, 외안근 및 시신경의 주행, 형태, 안와 내의 종양, 안와골벽의 상태, 안와와 코곁굴 및 머리뼈내강과의 관련, 눈꺼풀의 상태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초음파와 병용하면 진단적 가치가 높아진다.<br />최근에는 전산화 단층 촬영을 소프터웨어를 통한 조합으로 3차원 영상을 만드는데 전반적인 얼굴 윤곽의 변화나 평가에 유용하다. == 검사 방법 == * 축성 단면 (axial section) : infraorbital line (Reid base line, RBL) 에 평행하게 촬영 * 수평 단면 (transverse section) * 수직 단면 (sagittal section) * 관상 단면 (coronal section) : 관상 봉합에 평행하게 촬영
전산화 단층 촬영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전산화 단층 촬영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