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지방 색전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지방 색전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지방 색전 증후군 (fat embolism syndrome) == 역학 == 장골 골절 환자의 5%에서 발생된다. 임상 증상은 보통 외상 후 24~48시간 사이에 시작되며, 많은 장기를 침범하므로 20~3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 병태 생리 == 미세 지방 방울에 의한 기계적 손상와 지방산에 의한 생화학적 손상으로 일어난다. == 임상 소견 == 망막 소견으로 면화반, 점상 혹은 화염상 출혈 및 미세 망막혈관 폐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소견은 환자의 50~60%에서 볼 수 있다. Chang 등은 지방 색전 증후군으로 의심받지 않았던 100명의 장골 혹은 골반 골절 환자를 검사하여 4명에서 면화반 및 망막 출혈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외상 후 회복이 빨라 발견이 쉽지 않지만 망막 검사를 통해 지방 색전증이 발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 예후 및 합병증 == 망막 소견은 1~2주 후에 없어지며, 시력 예후는 대체로 좋으나 영구적인 중심부근 암점이 발생할 수 있다.
지방 색전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지방 색전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