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퀴놀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퀴놀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퀴놀론 (quinolone)''' == 작용 기전 == 세균의 국소 이성질화 효소 (topoisomerase, DNA gyrase) IV 와 II의 두 가지 효소를 억제하여 광범위한 세균의 항균성을 가진다. == 분류 == === 1세대 === * nalidixic acid * pipemic acid * cinoxacin === 2세대 === * ciprofloxacin * ofloxacin * norfloxacine === 3세대 === * [[레보플록사신]] (levofloxacin) * sparfloxacin * grepafloxacin === 4세대 === 8번 탄소 위치에 메톡시기가 치환되어 세균의 국소이성질화 효소에 결합하여 내성균의 발현이 낮고, 3세대에 비해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높아 안과 영역에서는 결막염, 각막 궤양, 안내염 같은 다양한 세균성 감염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f>Fisher LM et al. Dual activity of fluoroquinolone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J Antimicrob Chemother''. 2003 Feb;51(2):463-4; author reply 464-5. [https://pubmed.ncbi.nlm.nih.gov/12562724/ 연결]</ref>. 넓은 항균력 스펙트럼과 세균의 항생제 내성 발병을 지연시키는 특징을 가지는 4세대 퀴놀론은 치료가 어려운 각막궤양의 1차 치료법으로 사용되며, 강화된 세팔로스포린 계열과 아미노글리세린 계열의 토브라마이신 병용요법과 함께 심각한 각막 궤양의 치료에도 사용된다<ref>Sharma N et al. Evaluation of moxifloxacin 0.5% in treatment of nonperforated bacterial corneal ulcers : a RCT. ''Ophthalmology''. 2013 Jun;120(6):1173-8. [https://pubmed.ncbi.nlm.nih.gov/23415776/ 연결]</ref><ref>Blondeau JM. Fluoroquinolones : mechanism of action,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 of resistance. ''Surv Ophthalmol''. 2004 Mar;49 Suppl 2:S73-8. [https://pubmed.ncbi.nlm.nih.gov/15028482/ 연결]</ref>. * [[목시플록사신]] (moxifloxacin) * [[가티플록사신]] (gatifloxacin) * sitafloxacin * prulifloxacin == 부작용 ==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퀴놀론 제제는 체내 반응에서 안정적이지만,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다음으로 약물에 의한 과민반응이 3번째로 흔하게 유발하는 원인 약제로 알려져 있다<ref>Regateiro FS et al. Drug-Induced Anaphylaxis : An Update on Epidemiology and RFs. ''Int Arch Allergy Immunol''. 2020;181(7):481-487. [https://pubmed.ncbi.nlm.nih.gov/32396909/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퀴놀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퀴놀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