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클로로퀸 망막병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클로로퀸 망막병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클로로퀸 망막병증 (chloroquine retinopathy)'''{{망막}} 클로로퀸은 말라리아 치료제로 처음 사용된 이래 요즘은 류마티스양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및 아메바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망막 독성은 초기 보고에 의하면 누적량과 더 관련이 있다고 하였으나 요즈음은 누적량 혹은 하루 용량 중 어느 것에 더 관련이 있는지는 논쟁이 있다. 이 약제는 배설이 매우 느려 체내에 오래 잔류하기 때문에 <span style='color:blue;'>약제를 끊고 난 후에도 망막 독성이 진행하거나 늦게 나타날 수 있어</span> 약물의 복용을 끊은 뒤 7년이 지나서도 독성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 병태 생리 == 멜라닌과 결합하여 망막 색소 상피 및 포도막 조직에 집중된다. == 독성 용량 == 권장되는 용량은 3.0mg/kg/day이며, 하루 용량이 250mg 이상이고 총 누적량이 100~300g 정도일 때 망막 독성이 나타난다. == 증상 == <span style='color:blue;'>중심 부근 암점이 가장 먼저 발생</span>하는 증상이다. == 임상 소견 == 초기 징후는 미세한 황반부의 색소 반점 및 중심와 반사의 소실이다. 나중에 색소 장애가 더 심해지면 전형적인 <span style='color:blue;'>과녁 황반병증 (bull's eye maculopathy)</span>으로 진행하게 된다. 황반부에 고리 모양의 색소 과다 침착이 고리 모양의 탈색을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 된다. 이 시기에 주변부 망막에도 색소 반점이 나타날 수 있다. 말기가 되면 색소상피-망막 변성(tapetoretinal degeneration)과 유사하게 시신경 유두 창백 및 혈관 세약을 동반한 전반적인 색소 장애가 나타난다. 초기 미세한 황반 변화는 가역적일 수 있으나 많이 진행된 경우는 약물 중지 후에도 진행할 수 있다. == 조직병리 == 시세포층의 손상 및 감소와 더불어 망막 내 색소를 포함한 세포들의 축적과 망막 색소상피의 색소가 소실되는 소견을 볼 수 있다. == 검사 및 진단 == * FA : 초기의 황반의 색소 변화를 증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망막 전위도, 눈 전위도 : 초기부터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이나, 간혹 눈 전위도는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 FAF === 황반 중심부에서 중심 주위 고리 모양 (pedcentral ring) 의 증가된 자가 형광이 나타난다. 이는 다초점 망막 전위도에서 진폭01 감소된 지역과 일치하고 OCT상 시세포 외절 및 내절의 중심 주위 손상과도 일치한다. 병이 더욱 진행하면 이 중심 주위의 자가 형광이 감소 혹은 증가된 상태와 더불어 더욱 반점 모양 (mottled appearance) O| 나타난다..59,60 예전에는 전기생리학적 검사가 초기 클로로퀸 망막병증을 진단하는 데 적합한 도구로 여겨져 왔지만, 요즘에는 OCT뿐만 아니라 FAF도 선별 검사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Ahn 등<ref>Ahn SJ et al. Evaluation of HCQ Retinopathy Using UW FAF : Peripheral Findings in the Retinopathy. ''AJO''. 2020 Jan;209:35-44. [https://pubmed.ncbi.nlm.nih.gov/14641151/ 연결]</ref>은 광시야 FAF 영상이 클로로퀸 망막병증의 평가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 정기 검사 == 클로로퀸 유도체로 치료를 받는 환자는 6~12개월마다 정기적인 안과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초기에 발견하기 위해서 세심한 검안경 검사 및 붉은 시표로 중심 시야 검사를 한다. <span style='color:blue;'>붉은 시표로 중심 부근 암점이 생기는 것이 어떤 증상이나 안저 변화보다 선행</span>하기 때문이다. 붉은 암슬러 격자도 초기 중심부근 암점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말기에는 망막 전위도 및 눈 전위도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만 보통 초기에는 정상이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클로로퀸 망막병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클로로퀸 망막병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