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펜디메트라진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펜디메트라진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펜디메트라진 (phendimetrazine)'''<ref>허현도 외, 펜디메트라진에 의해 발생한 안 합병증 2예, ''JKOS'' 2012;53(6):895-900</ref> 은 교감신경 흥분제로서 노르아드레날린성 아민계 약물로, 신경세포 접합부에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음식의 섭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ref>Bray GA. A concise review on the therapeutics of obesity. ''Nutrition''. 2000 Oct;16(10):953-60. [https://pubmed.ncbi.nlm.nih.gov/11054601/ 연결]</ref>. == 기전 == E-prostanoid<sub>2</sub> 수용체를 통해 PG E<sub>2</sub>의 생성을 자극한다. E-prostanoid<sub>2</sub> 수용체는 홍채, 섬모체근, 전방각에 분포되어 있다. 안구 내의 PG E<sub>2</sub> 농도의 증가는 섬모체의 혈관 투과성 증가를 일으킨다<ref>Bhattacherjee P et al. BAB in PG EP2 receptor knockout mice. ''Ocul Immunol Inflamm''. 2002 Sep;10(3):187-96. [https://pubmed.ncbi.nlm.nih.gov/12789594/ 연결]</ref><ref>Biswas S et al. PG E2 receptor subtypes, EP1, EP2, EP3 and EP4 in human and mouse ocular tissues : a comparative immunohistochemical study.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2004 Nov;71(5):277-88. [https://pubmed.ncbi.nlm.nih.gov/15380814/ 연결]</ref>. == 부작용 ==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펜디메트라진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펜디메트라진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