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피질 백내장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피질 백내장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수정체 피질]] 부위의 노화로 '''피질 백내장 (cortical cataract)'''{{백내장}}이 생긴다. 피질 백내장은 상대적으로 선명하면서 투명한 유체 틈새에서 시작되는데, 점차 불투명한 바큇살 모양으로 변하게 된다. 좀 더 선명한 층판 분리가 생기면 쐐기모양 혼탁이 발생 한다<ref name=r2>Pau H. Cortical and subcapsular cataracts : significance of physical forces. ''Ophthalmologica''. 2006;220(1):1-5. [https://pubmed.ncbi.nlm.nih.gov/16374041/ 연결]</ref>. 피질의 투명성 소실에 [[수정체 상피]]가 역할을 한다<ref>Worgul BV et al. Cortical cataract development : an expression of primary damage to the lens epithelium. ''Lens Eye Toxic Res''. 1989;6(4):559-71. [https://pubmed.ncbi.nlm.nih.gov/2487271/ 연결]</ref>. 불용성 단백질이 피질 백내장 상피의 특징으로 보이며, 바큇살 모양이나 로제트 등의 다양한 형태학적인 이상과 동반되어 나타난다<ref>Kalariya N et al. Human lens epithelial layer in cortical cataract. ''Indian J Ophthalmol''. 1998 Sep;46(3):159-62. [https://pubmed.ncbi.nlm.nih.gov/10085629/ 연결]</ref>. 조직학적으로는 수정체 세포 사이에 호산성 액체가 축적되면서 경계 세포들의 위치가 변하고 변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현미경에서 보이는 틈새는 세극등에서 임상적으로 보이는 변화와 일치한다. 피질 세포벽이 와해되면서 유리된 단백질로 이루어진 구형의 방울을 모르가니 소구체라고 한다. 백내장 수술 중 이러한 구체를 건드리면 우윳빛 액체가 방출되는데, 이러한 소구체가 축적되어 전체 피질을 대치하면 성숙 모르가니 백내장이 된다<ref>Bron AJ et al. Morgagnian cataract.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6 Jul;96(2):265-77. [https://pubmed.ncbi.nlm.nih.gov/1070881/ 연결]</ref>. 이 상태가 되면 중심의 치밀한 핵은 중력에 따라 수정체 아래 적도 부위로 전이되곤 한다. 일부 수정체의 깊은 피질에서는 결정 침착물이 발견되며 크리스마스트리 백내장 (Christmas tree cataract) 의 모양을 보인다<ref>Shun-Shin GA et 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hristmas tree cataract. ''IOVS''. 1993 Dec;34(13):3489-96. [https://pubmed.ncbi.nlm.nih.gov/8258504/ 연결]</ref>. 결정은 콜레스테롤, 지질, 칼슘 및 기타 물질로 이루어진다. 다른 형태의 백내장 없이 이 결정만 있다면 시력을 저하시키지는 않는다. 이러한 결정은 [[수정체 용해 녹내장]]과 연관되어 있다<ref>Flocks M et al. Phacolytic glaucoma :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138 cases of glaucoma a/w hypermature cataract. ''AMA Arch Ophthalmol''. 1955 Jul;54(1):37-45. [https://pubmed.ncbi.nlm.nih.gov/14375459/ 연결]</ref>. 조직학적으로는 편광 필터를 이용하여 어떤 결정들은 관찰할 수 있다. 피질 백내장 형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생화학적인 변화와 더불어 물리적인 힘도 고려해야 한다. 수정체 핵의 경화가 증가하면 비조절 상태가 되어 이론적으로는 단단한 핵과 부드러운 피질 사이에 기계적인 전단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기계적인 피질 파열은 여러 소인과 전단응력의 조합으로 발생한다<ref name=r2 />.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백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피질 백내장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피질 백내장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