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하향 눈떨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하향 눈떨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하향 눈떨림 (downbeat nystagmus)'''{{신경안과}} 은 두 눈이 서서히 위로 치우쳤다가 빠른 눈운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형태의 눈떨림이다. == 원인 == 아놀드-키아리 기형과 같은 두개-경수 접합부 병변, 하부 뇌간 및 소뇌 질환, 독성 또는 대사 장애이다. 흔한 원인 질환으로는 뇌간경색, [[다발 경화증]], 소뇌 이소증 (cerebellar ectopia) 및 소뇌 변성 등이 있다. 하향 눈떨림이 머리 움직임에 의해 간헐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두개-경수 접합부의 구조적 질환이나 경추 뼈돌기에 의한 추골 동맥 압박 등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 발생 기전 == 수직 반고리관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추 전정 기능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발생 기전으로 * 하전근에 대한 긴장성 전정 지배 장애 * 상전근에 대한 소뇌 타래엽-소절엽 (flocculomodular lobe) 의 억제성 지배 감소 등이 거론되고 있다. 실험저긍로는 제4뇌실 바닥 중앙 부위의 병변이나 소뇌 타래엽의 절제에 의해 발생하는데, 타래엽 절제에서는 전반고리관으로부터의 입력에 대한 억제 감소를, 제4뇌실 바닥의 병변에서는 후반고리관으로부터의 입력 경로 차단을 원인으로 설명한다. == 임상 소견 == 제일 안위에서도 나타나지만 [[알렉산더 법칙]]에 따라 <span style='color:blue;'>하방 주시 때 강도가 가장 크고</span> 상방 주시 때 가장 작다. 느린 파형은 선형이지만 가속형일 때도 있는데(알렉산더 법칙에 위배) 이는 주시 유지 기전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하방 및 외측주시 때 가장 잘 관찰되고 주시를 못하게 해도 느린 단계 속도에는 별 변화가 없다. 원활 하향 눈운동에 지장이 있으므로 수직 원활 추종이나 수직 전정 안반사가 비정상이고 상방 전정 안반사는 이득이 *0 이상으로 활동 과다를 보이기도 한다. 수평 주시 유지, 원활 추종, 머리눈 추적 등의 장애도 동반된다. 눈모음은 눈떨림의 빈도와 진폭에 영향을 주며 하향 눈떨림을 [[상향 눈떨림]]으로 바꾸기도 한다. 환자가 수직 복시를 호소하면 [[스큐 편위]]가 동반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하향 눈떨림의 결과로 떨림 보기와 자세 불안정이 생긴다. {{참고}} {{눈떨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눈떨림
(
원본 보기
)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하향 눈떨림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하향 눈떨림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