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HLH)''' 은 조직구 증식 증후군 (histiocytosis syndrome) 에 속하는 질환군이다. == 역학 == 주로 소아에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인의 발생률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과거 고열을 동반한 다발성 장기부전 양상을 보인 원인 불명의 중증 환자들 중 상당수가 HLH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ref>Ishii E et al. Nationwide survey of HLH in Japan. ''Int J Hematol''. 2007 Jul;86(1):58-65. [https://pubmed.ncbi.nlm.nih.gov/17675268/ 연결]</ref>. == 병인 == 면역 및 염증반응의 정상적인 종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적시에 종료가 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 결과 과도하게 자극된 면역세포는 정상 조직을 침범하여 전신 장기 부전을 발생시키고 많은 사이토카인들이 심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ref name=r1>Filipovich AH. HLH and other hemophagocytic disorder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8 May;28(2):293-313, viii. [https://pubmed.ncbi.nlm.nih.gov/18424334/ 연결]</ref>. == 임상 소견 == 고열과 범혈구 감소증을 주소로 발병하여 비장, 간 등의 장기 종대, 중추신경계 혈관염및 탈수초화, 원인 불명의 전격 간염 등 전신을 침범하는 염증 반응을 보이는 질환이다<ref name=r1 />. === 안구 침범 === 안구 침범은 1968년 처음 보고된 이후 안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추가적인 보고는 극히 드물다<ref>Matsubara K et al. Ocular involvement and visual sequelae in HLH in a/w congenital dyfsfibrinogenemia. ''Pediatr Hematol Oncol''. 1998 Jul-Aug;15(4):365-70. [https://pubmed.ncbi.nlm.nih.gov/9658439/ 연결]</ref>. 주로 안와 연조직을 침범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홍채, 망막, 맥락막, 시신경 등을 침범하기도 한다. 보고된 증상들로는 장액성 색소상피박리, 망막출혈, 포도막염, 황반 및 시신경부종 등이 있었으며 생검을 통해 섬유주, 홍채, 모양체, 망막, 맥락막 및 시신경을 포함한 다양한 안구 구조 조직으로의 림프조직구 침윤이 확인되었다<ref>Suhr KS et al. Ocular Involvement in Hemophagocytic Syndrome : A Novel Funduscopic Manifestation and Revewer of the Literature. ''Retin Cases Brief Rep''. 2016 Fall;10(4):345-8. [https://pubmed.ncbi.nlm.nih.gov/26807497/ 연결]</ref>. 최근 Wang 등<ref>Wang L et al. Ocular Phenotypes in Patients w HLH : A Retrospective Analysis in a Single Center Over 7y. ''AJO''. 2023 Sep;253:119-131. [https://pubmed.ncbi.nlm.nih.gov/37178948/ 연결]</ref>은 1,525명의 HLH 환자 중 눈 증상이 발생한 133명과 눈 증상이 없는 208명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안구 침범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고령, 자가면역 질환, 적혈구 수 감소, 혈소판 수 감소, 피브리노겐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특히 피브리노겐의 상승은 허혈 발생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 진단 == * HLH에 부합되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되거나 * 발열, 비장 비대, 혈구 감소증, 고중성지방혈증 또는 저섬유소원혈증, 혈구탐식증, NK세포 활성도, 혈청 페리틴, 용해성 IL-2 수용체의 혈중 농도를 평가하여 8개의 기준 중 5개 이상의 항목을 만족할 때 진단할 수 있다<ref>Henter JI et al. HLH-2004 : Diagnostic and therapeutic guidelines for HLH. ''Pediatr Blood Cancer''. 2007 Feb;48(2):124-31. [https://pubmed.ncbi.nlm.nih.gov/16937360/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