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호롭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호롭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호롭터 (horopter) 는 1613년 Aguilonius에 의해 처음 사용된 오래된 용어로, 일정한 주시 거리에서 주시점을 중심으로 하여 두눈 망막 대응점에 맺히는 점들로 이루어진 가상선이다. 호롭터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호롭터 위치와 모양은 주시점에 의해 결정된다. 즉, 주시하는 점이 바뀌면 새롭게 형성되어 먼 곳에 있는 호롭터는 거의 편평하지만 주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점점 오목해진다. 호롭터 위에 있는 물체는 하나의 상으로 느끼지만 수평 시차가 없어 입체시를 보이지는 않는다. 호롭터 앞쪽 또는 뒤쪽에 있는 물체는 비대응 망막점에 맺히게 된다. == 분류 == * Vieth-Muller 원 : 이론적이고 수학적인 호롭터로 주시점과 각 눈의 교점을 연결하는 완전한 원이다. * 경험 호롭터 (Hering-Hillebrand 호롭터) : 실제 실험으로 얻어진 호롭터는 Vieth-Muller 원보다 훨씬 편평하다. 이런 차이는 코쪽 망막이 귀쪽 망막에 비해 단위 면적당 광수용체가 더 많다는 신경학적 요인과 수정체 주변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광학 왜곡으로 설명되고 있다.
호롭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호롭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