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EVS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EVS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Endophthalmitis Vitrectomy Study (EVS)'''{{망막}}<ref>Results of the EVS. A randomized trial of immediate vitrectomy and of IV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postop. bacterial endophthalmitis. EVS Group. ''Arch Ophthalmol''. 1995 Dec;113(12):1479-96. [https://pubmed.ncbi.nlm.nih.gov/7487614/ 연결]</ref> == 연구의 목적 == 술 후 안내염의 치료로 즉각적인 유리체 절제술과 전신적 항생제 사용의 역할을 규명 == 대상 및 방법 == 1990~1994년까지 실시된 전향적인 다기관 연구이다.<br />백내장 수술이나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 후 6주 이내에 발생한 급성 안내염 환자의 42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br />두 번 무작위로 환자군을 나누었다. 먼저는 유리체 tab 후에 유리체 항생제 주입술을 시행한 군과 유리체 절제술 후 항생제 주입술을 한 군으로, 두 번째는 정맥으로 항생제를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서 서로 비교하였다. == 결과 == 술 전 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환자에서는 유리체 절제술의 시행 여부와 부관한 시력 예후를 보였으나, 광각인지인 환자들에서는 유리체 생검만을 시행한 군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술 후 시력 20/40 이상은 세 배, 20/100 이상은 두 배 많았으며 심각한 시력 소실은 50% 감소시켰다.<br />시력 결과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은 동정된 균의 종류와 초기 나타난 징후라고 하였다. 가장 시력 예후가 좋았던 균은 CNS와 균이 동정이 안 된 경우였고, 다른 그람 양성균이나 그람 음성균인 경우 시력 예후가 좋지 않았다. == 결론 == *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안내염에서 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환자에서 즉각적인 유리체 절제술의 효과는 미미하며, 광각인지인 환자에서는 시력 결과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 수술 후 초기부터 심한 염증을 동반하면서 급격한 시력 저하가 동반되면, 병독성이 강한 균이라는 것이 의심되기 때문에 비록 시력이 광각보다 좋을지라도 조기 유리체 절제술 후에 유리체강내 항생제 주입술을 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 정맥 항생제 투여에 대해서는 술 후 안내염의 임상적인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결론 내렸다. (EVS에서는 ceftazidime 2g과 amikacin 7.5mg/kg 을 사용하였는데, 이에 대해 amikacin이 유리체내로의 투과도가 너무 낮아 전신 항생제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많다. 최근에 유리체 투과율이 높은 4세대 quinolone 계열의 항생제는 정맥 혹으 경구로 사용하더라도 유리체내 치료적 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 임상적 징후가 불량한 술 후 안내염의 경우에는 전신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EVS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EVS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