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검사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신경안과}} 은 시신경 유두의 혈액 관류 저하로 생기는 시신경의 허혈성 질환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span style='color:blue;'>55~70세</span>에 많이 발생하며 성별에 차이가 없고 백인에게 많다. 그러나 당뇨병이나 편두통, 고혈압으로 인해 20대나 30대에 발병하기도 한다. | <span style='color:blue;'>55~70세</span>에 많이 발생하며 성별에 차이가 없고 백인에게 많다. 그러나 당뇨병이나 편두통, 고혈압으로 인해 20대나 30대에 발병하기도 한다. 50세에서 NAION의 10만 명당 유병률은 10.2명으로 흔한 질환이다<ref>Hattenhauer MG et al. Incidence of NAION. ''AJO''. 1997 Jan;123(1):103-7. [https://pubmed.ncbi.nlm.nih.gov/9186104/ 연결]</ref>.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흡연, 혈중 fibrinogen, cholesterol, triglyceride가 높은 경우, <span style='color:blue;'>작은 유두와 작은 유두함몰비</span>이다.<br /><span style='color:blue;'>고혈압(35~50%), 죽상 경화, 당뇨병</span>, 편두통, 결절성 동맥주위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대상 포진, 류마티스성 관절염, 베체트병, 심한 급성 실혈이 있거나 비아그라를 사용한 경우에도 올 수 있다. | 흡연, 혈중 fibrinogen, cholesterol, triglyceride가 높은 경우, <span style='color:blue;'>작은 유두와 작은 유두함몰비</span>이다.<br /><span style='color:blue;'>고혈압(35~50%), 죽상 경화, 당뇨병</span>, 편두통, 결절성 동맥주위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대상 포진, 류마티스성 관절염, 베체트병, 심한 급성 실혈이 있거나 비아그라를 사용한 경우에도 올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ref>Miller NR. Current concepts in the diagnosis,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NAION. ''J Neuroophthalmol''. 2011 Jun;31(2):e1-3. [https://pubmed.ncbi.nlm.nih.gov/21593625/ 연결]</ref> == | ||
초기 증상으로 중심 시력 저하, 시야 결손 등이 있으며 동통은 동반되지 않는다. | 초기 증상으로 중심 시력 저하, 시야 결손 등이 있으며 동통은 동반되지 않는다. | ||
* 시력 저하 : <span style='color:blue;'>대개 아침에 일어나서, 혹은 낮잠에서 깨어날 때 시력 저하</span>를 느끼는데(51.8%), 특히 아침에 일어나서 시력 저하를 느끼는 경우가 21.5%나 된다. 시력 저하의 정도는 1.0부터 광각 상실까지 차이가 많다. | * 시력 저하 : <span style='color:blue;'>대개 아침에 일어나서, 혹은 낮잠에서 깨어날 때 시력 저하</span>를 느끼는데(51.8%), 특히 아침에 일어나서 시력 저하를 느끼는 경우가 21.5%나 된다. 시력 저하의 정도는 1.0부터 광각 상실까지 차이가 많다. Hayreh 등<ref>Hayreh SS et al. NAION :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Ophthalmology''. 2008 Feb;115(2):298-305.e2. [https://pubmed.ncbi.nlm.nih.gov/17698200/ 연결]</ref>은 실제 NAION 환자의 약 21% 정도에서 시력이 0.1 이하로 떨어진다고 하였고, 시력 0.3 이상인 환자에서 약 9%, 0.3 미만인 환자의 18% 정도에서 2년 내 시력의 악화가 진행된다고 하였다. | ||
* <span style='color:blue;'>색각 이상 : 시신경염일 때와 달리 시력 저하와 비례</span>한다. | * <span style='color:blue;'>색각 이상 : 시신경염일 때와 달리 시력 저하와 비례</span>한다. | ||
*시야 결손 : 모든 예에서 관찰되는데 증상이 경미하면 잘 발견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평 시야 결손은 위보다는 아래 수평 시야 결손이 많고 비측 하방 시야 결손이 가장 흔한 형태이며 중심 암점, 궁상 암점, 사분맹, 주변부 협착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시야 결손 : 모든 예에서 관찰되는데 증상이 경미하면 잘 발견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평 시야 결손은 위보다는 아래 수평 시야 결손이 많고 비측 하방 시야 결손이 가장 흔한 형태이며 중심 암점, 궁상 암점, 사분맹, 주변부 협착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
* 구심성 동공 장애 : 병변이 있는 눈에 있다. | * 구심성 동공 장애 : 병변이 있는 눈에 있다. | ||
* 검안경 소견 : 시신경 유두는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부어 있으며 국소적으로 부어 있을 때는 대개 시야결손 부위와 일치한다. | * 검안경 소견 : 시신경 유두는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부어 있으며 국소적으로 부어 있을 때는 대개 시야결손 부위와 일치한다. | ||
=== 검사 === | |||
* OCT : 발병 초기에는 망막 신경섬유층 두께 (RNFLT) 가 증가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신경 유두 부종이 점차 줄어듦에 따라 시신경 유두가 창백해지고 위축되며 RNFLT가 정상안의 두께에 비해 얇아진다<ref>Contreras I et al. FU of NAION w OCT. ''Ophthalmology''. 2007 Dec;114(12):2338-44. [https://pubmed.ncbi.nlm.nih.gov/17719640/ 연결]</ref>. | |||
== [[시신경염]] 과의 감별 == | == [[시신경염]] 과의 감별 == | ||
허혈성 시신경병증은 종종 '위험한 시신경 유두', 즉 작은 시신경 유두 함몰비와 관련이 있으나, 시신경염은 일반적으로 이런 유형의 시신경 유두와 관련이 없다. 또한 시신경염 환자의 많은 수가 시력을 회복하는 반면, 허혈성 시신경병증은 적은 비율의 환자들만이 시력을 회복한다.{{br}}경사진 경계를 가진 주시점을 중심으로 한 맹점은 시신경염의 특징인 반면, 수평선을 따라 명확한 경계를 동반한 (특히 코쪽 주변부) 하측 수평 (altitudinal) 결손은 앞허혈 시신경병증의 특징이었다. 이러한 진단 기준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야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30˚에 국한되면, 큰 중심 맹점이 미만성 결손으로 오인되거나, 비측 주변부의 경계를 놓칠 수 있다. | 허혈성 시신경병증은 종종 '위험한 시신경 유두', 즉 작은 시신경 유두 함몰비와 관련이 있으나, 시신경염은 일반적으로 이런 유형의 시신경 유두와 관련이 없다. 또한 시신경염 환자의 많은 수가 시력을 회복하는 반면, 허혈성 시신경병증은 적은 비율의 환자들만이 시력을 회복한다.{{br}}경사진 경계를 가진 주시점을 중심으로 한 맹점은 시신경염의 특징인 반면, 수평선을 따라 명확한 경계를 동반한 (특히 코쪽 주변부) 하측 수평 (altitudinal) 결손은 앞허혈 시신경병증의 특징이었다. 이러한 진단 기준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야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30˚에 국한되면, 큰 중심 맹점이 미만성 결손으로 오인되거나, 비측 주변부의 경계를 놓칠 수 있다. | ||
| 24번째 줄: | 29번째 줄: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시간이 경과한 뒤 시신경이 위축되며, 위축된 유두 주위의 망막 동맥들이 가늘어지고 수축하며 출혈과 삼출물들은 없어진다. 한 보고에 따르면 환자의 초기 시력은 0.2~1.0이 61.9% 였으며, 38.1%가 0.1보다 나빴고, 최종 시력은 0.2~1.0이 69.4%였고, 30.6%가 0.1보다 나빴다. 한 번 발병한 눈에 다시 재발한 예는 드물다. | 시간이 경과한 뒤 시신경이 위축되며, 위축된 유두 주위의 망막 동맥들이 가늘어지고 수축하며 출혈과 삼출물들은 없어진다. 한 보고에 따르면 환자의 초기 시력은 0.2~1.0이 61.9% 였으며, 38.1%가 0.1보다 나빴고, 최종 시력은 0.2~1.0이 69.4%였고, 30.6%가 0.1보다 나빴다. 한 번 발병한 눈에 다시 재발한 예는 드물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