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래끼: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다래끼 (맥립종; hordeolum) 는 마이봄샘이나 짜이스샘에 발생한 급성 세균감염이다. == 원인 == 가장 흔한 김염균은 포도알균이다. == 분류 == *...)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래끼 (맥립종; hordeolum) 는 마이봄샘이나 짜이스샘에 발생한 급성 세균감염이다.
'''다래끼 (맥립종; hordeolum)'''{{성형안과}} 통증을 동반하는 눈꺼풀의 급성, 화농성, 감염성 병변이다. 다래끼는 눈꺼풀염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하며, 다발성으로 발생하거나 재발하기도 한다.  
== 원인 ==
== 원인 ==
가장 흔한 김염균은 포도알균이다.
포도알균 감염과 관련이 있지만, 감염 경로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 분류 ==
== 분류 ==
* 속 (internal) 다래끼 : 마이봄샘에 생긴 경우
* 속 (internal) 다래끼 : 마이봄샘에 생긴 경우
* 겉 (external) 다래끼 : 짜이스 샘에 생긴 경우로, 일반적으로 다래끼(stye)라 부른다. 속눈썹을 중심으로 염증이 발생하며 이 때 속눈썹을 뽑으면 고름이 쉽게 배출되기도 한다.
* 겉 (external) 다래끼 : 짜이스 또는 몰 샘에 생긴 경우로, 일반적으로 다래끼(stye)라 부른다. 속눈썹을 중심으로 염증이 발생하며 이 때 속눈썹을 뽑으면 고름이 쉽게 배출되기도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치료 ==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며 더운 찜질과 항생제 눈연고를 발라주어 치료한다. 드물게는 표재성 연조직염이나 농양으로 진행하기도 하며 이 경우 전신적 항생제와 수술로 절개 및 고름 배출을 해야한다.
항생제, 온찜질, 눈꺼풀 위생 관리 등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며,보존적 치료에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절개 배농을 시행할 수 있다.
{{참고}}

2023년 1월 22일 (일) 08:38 기준 최신판

다래끼 (맥립종; hordeolum)[1] 는 통증을 동반하는 눈꺼풀의 급성, 화농성, 감염성 병변이다. 다래끼는 눈꺼풀염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하며, 다발성으로 발생하거나 재발하기도 한다.

원인

포도알균 감염과 관련이 있지만, 감염 경로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분류

  • 속 (internal) 다래끼 : 마이봄샘에 생긴 경우
  • 겉 (external) 다래끼 : 짜이스 또는 몰 샘에 생긴 경우로, 일반적으로 다래끼(stye)라 부른다. 속눈썹을 중심으로 염증이 발생하며 이 때 속눈썹을 뽑으면 고름이 쉽게 배출되기도 한다.

치료

항생제, 온찜질, 눈꺼풀 위생 관리 등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며,보존적 치료에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절개 배농을 시행할 수 있다.

참고

  1.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