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범망막 광응고: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증식 당뇨 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처음에는 강한 에너지의 빛으로 망막의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때 신생 혈관 주변 넓은 부위의 망막이 함께 지져지면, 흥미롭게도 응고하려 했던 신생 혈관에서 먼 곳의, 직접 광응고하지 않은 신생 혈관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아울러 위축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또 여러가지 이유로 한 쪽 눈에 넓게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환자나 시신경 위축이 있는 환자, 한쪽에만 심한 근시성 변화가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서 양안을 비교하니,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쪽 눈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이 안 일어났거나 훨씬 덜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위의 두 가지 사실에서 Aiello와 Beetham은 신생혈관을 직접 광응고하지 않고도 망막을 넓게 광응고하여 비교적 무해한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망막의 신생혈관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였고, 루비 레이저를 써서 환자의 눈에 직접 적용하여 실제로 망막의 신생혈관이 위축됨을 보고하였다.
[[증식 당뇨 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처음에는 강한 에너지의 빛으로 망막의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때 신생 혈관 주변 넓은 부위의 망막이 함께 지져지면, 흥미롭게도 응고하려 했던 신생 혈관에서 먼 곳의, 직접 광응고하지 않은 신생 혈관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아울러 위축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또 여러가지 이유로 한 쪽 눈에 넓게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환자나 시신경 위축이 있는 환자, 한쪽에만 심한 근시성 변화가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서 양안을 비교하니,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쪽 눈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이 안 일어났거나 훨씬 덜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위의 두 가지 사실에서 Aiello와 Beetham은 신생혈관을 직접 광응고하지 않고도 망막을 넓게 광응고하여 비교적 무해한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망막의 신생혈관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였고, 루비 레이저를 써서 환자의 눈에 직접 적용하여 실제로 망막의 신생혈관이 위축됨을 보고하였다.
== 적응증 ==
== 적응증 ==
* [[유두 혈관신생]]이 심한 경우 (표준사진 10A보다 심한 경우)
* [[유두 신생혈관]]이 심한 경우 (표준사진 10A보다 심한 경우)
* [[유두 혈관신생]]이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유두 신생혈관]]이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주변 혈관신생]]이 심하게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주변 신생혈관]]이 심하게 있고, 유리체나 망막앞 출혈이 있는 경우
* [[홍채 혈관신생]]
* [[홍채 신생혈관]]
* 심한 모세혈관 비관류
* 심한 모세혈관 비관류
== 치료 기구 ==
== 치료 기구 ==
* 레이저 : 여러 종류의 레이저를 사용하는데, 아르곤 레이저를 가장 많이 쓰고 있고, 특히 초록 아르곤(514nm)을 많이 쓴다. 청록 아르곤(488nm)은 눈 속에서 많이 산란되고 필터를 통과하여 장기적으로는 시술자의 망막 황반 부위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어 예전보다 덜 쓰인다. 빨강 크립톤 레이저(647nm)는 파장이 길어 침투력이 강하므로, 핵경화 백내장이나 가벼운 유리체 출혈이 있어도 광응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망막에 대한 광응고 효과는 아르곤 레이저와 비슷하다. 다이오드 레이저는 가볍고 부피가 작으므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좀 더 장파장(780~850nm)이어서 침투력이 좋아 눈 속의 혼탁이 있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눈 조직 깊숙이 에너지가 들어가서 통증을 더 맣이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br />최근에는 [[PASCAL]]이 등장하여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 레이저 : 여러 종류의 레이저를 사용하는데, 아르곤 레이저를 가장 많이 쓰고 있고, 특히 초록 아르곤(514nm)을 많이 쓴다. 청록 아르곤(488nm)은 눈 속에서 많이 산란되고 필터를 통과하여 장기적으로는 시술자의 망막 황반 부위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어 예전보다 덜 쓰인다. 빨강 크립톤 레이저(647nm)는 파장이 길어 침투력이 강하므로, 핵경화 백내장이나 가벼운 유리체 출혈이 있어도 광응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망막에 대한 광응고 효과는 아르곤 레이저와 비슷하다. 다이오드 레이저는 가볍고 부피가 작으므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좀 더 장파장(780~850nm)이어서 침투력이 좋아 눈 속의 혼탁이 있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눈 조직 깊숙이 에너지가 들어가서 통증을 더 맣이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br />최근에는 [[PASCAL]]이 등장하여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35번째 줄: 36번째 줄:
* 견인 망막박리와 섬유화 증식의 정도
* 견인 망막박리와 섬유화 증식의 정도


만약 신생혈관이 촘촘한 그물망을 형성하며 정도가 이전에 비해 심해졌다면 추가광음고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신생혈관의 직경이 줄어들고, 섬유화 증식 소견이 보인다면 이는 망막병증이 휴지기에 접어든다는 것을 뜻하고, 추가적인 치료를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광범위한 PVD가 일어나면서 동시에 생기는 한 번의 유리체 출혈에 비해 PVD와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만약 신생혈관이 촘촘한 그물망을 형성하며 정도가 이전에 비해 심해졌다면 추가 광응고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신생혈관의 직경이 줄어들고, 섬유화 증식 소견이 보인다면 이는 망막병증이 휴지기에 접어든다는 것을 뜻하고, 추가적인 치료를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광범위한 PVD가 일어나면서 동시에 생기는 한 번의 유리체 출혈에 비해 PVD와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유리체 출혈 소견이 있을 때에는 추가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광범위하게 PVD가 일어난 상황에서는 신생혈관의 추가적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추가 레이저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광음고 반흔 사이의 간격이 넓고, 광응고 치료가 되지 않은 부위가 있다면 추가 레이저 치료가 도움이 되겠지만, 광범위하게 광응고 치료가 되어 있어 추가 레이저 응고반이 기존의 응고반 위에 덮이게 된다면 시야 협착, 야맹증 등의 합병증 가능성만 높아질 것이며 추가 치료의 이득은 적을 것이다. 유리체 출혈이 심하여 추가 광응고 치료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유리체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일어나는 유리체 출혈 소견이 있을 때에는 추가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광범위하게 PVD가 일어난 상황에서는 신생혈관의 추가적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추가 레이저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광음고 반흔 사이의 간격이 넓고, 광응고 치료가 되지 않은 부위가 있다면 추가 레이저 치료가 도움이 되겠지만, 광범위하게 광응고 치료가 되어 있어 추가 레이저 응고반이 기존의 응고반 위에 덮이게 된다면 시야 협착, 야맹증 등의 합병증 가능성만 높아질 것이며 추가 치료의 이득은 적을 것이다. 유리체 출혈이 심하여 추가 광응고 치료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유리체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