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합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수술 중 합병증 |
잔글 →수술 후 후기 합병증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불충분한 흡입력, 재사용하거나 무딘 칼날 사용 등으로 발생하며, 각막이 너무 편평하거나 상피 부종이 있거나 미세 각막 절개도에 이물질이 끼어있는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특히 불충분한 흡입력이 중요한 원인인데, 결막 부종이 있거나 유리체 액화가 있으면 흡입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고도 근시나 유리체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각막 절편이 너무 앓게 절제되었거나 단추 구멍이 의심되면 절편을 들지 말고 그 밑으로 평형 염액만을 관류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린 다음 수술을 끝내는 것이 좋다. 각막 절편이 앓더라도 절편 뒤의 기질과 바닥의 기질이 매끄러운 경우는 그대로 수술을 진행해도 되지만 각막 절편을 정렬에 맞춰 재위치시키기가 까다로울 수도 있다. 재수술은 3개월 이상 지난 후에 원래 계획보다 더 두꺼운 각막 절편을 만들거나 PRK 또는 [[라섹]]으로 시행한다. | 불충분한 흡입력, 재사용하거나 무딘 칼날 사용 등으로 발생하며, 각막이 너무 편평하거나 상피 부종이 있거나 미세 각막 절개도에 이물질이 끼어있는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특히 불충분한 흡입력이 중요한 원인인데, 결막 부종이 있거나 유리체 액화가 있으면 흡입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고도 근시나 유리체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각막 절편이 너무 앓게 절제되었거나 단추 구멍이 의심되면 절편을 들지 말고 그 밑으로 평형 염액만을 관류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린 다음 수술을 끝내는 것이 좋다. 각막 절편이 앓더라도 절편 뒤의 기질과 바닥의 기질이 매끄러운 경우는 그대로 수술을 진행해도 되지만 각막 절편을 정렬에 맞춰 재위치시키기가 까다로울 수도 있다. 재수술은 3개월 이상 지난 후에 원래 계획보다 더 두꺼운 각막 절편을 만들거나 PRK 또는 [[라섹]]으로 시행한다. | ||
== 수술 후 초기 | == 수술 후 초기 == | ||
=== 통증 === | === 통증 === | ||
대부분의 환자들은 수술 후 통증을 느끼지 않으며 첫 수 시간 동안 눈물 흘림, 이물감, 작열감, 눈부심 등을 경험할 수 있으나 진통제가 필요할 정도는 아니다. 비스테로이드나 인공 눈물 점안으로 충분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기도 한다. 만약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각막 절편 편위나 상피 결손 등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대부분의 환자들은 수술 후 통증을 느끼지 않으며 첫 수 시간 동안 눈물 흘림, 이물감, 작열감, 눈부심 등을 경험할 수 있으나 진통제가 필요할 정도는 아니다. 비스테로이드나 인공 눈물 점안으로 충분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기도 한다. 만약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각막 절편 편위나 상피 결손 등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광범위 절편 사이 각막염]] === | === [[광범위 절편 사이 각막염]] === | ||
== 수술 후 후기 | |||
== 수술 후 후기 == | |||
=== 달무리, 눈부심 === | === 달무리, 눈부심 === | ||
야간 시력 장애는 크게 달무리와 눈부심이 있다. 달무리는 밤에 차의 전조등처럼 중심의 밝은 빛 주위로 경계가 불분명한 동심원이 보이는것으로,동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학부가 작은 경우에 주로 생긴다. 따라서 동공이 매우 큰 고도 근시를 교정하기 위하여 광학부를 작게 만들었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레이저로 절제한 광학부의 크기와 위치는 각막 지형도로 확인할 수 있다. 달무리와 눈부심은 특히 야간 운전을 방해하지만 3~6개월 안에 소실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기간이 지나도 증상이 계속되면 밤에 0.125% [[필로카르핀]]을 점안하여 동공을 수축시키거나 Alphagan-P (0.1% brimonidine) 로 확대된 동공을 감소시키면 도움이 된다. 이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 전 어두운 상태에서 동공 크기를 측정하여 7.5mm 이상이면 환자에게 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고, 8.5mm 이상이면 광학부 또는 이행부 (blend zone) 를 넓힐 것을 고려하며, 9.0mm 이상이면 수술을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 야간 시력 장애는 크게 달무리와 눈부심이 있다. 달무리는 밤에 차의 전조등처럼 중심의 밝은 빛 주위로 경계가 불분명한 동심원이 보이는것으로,동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학부가 작은 경우에 주로 생긴다. 따라서 동공이 매우 큰 고도 근시를 교정하기 위하여 광학부를 작게 만들었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레이저로 절제한 광학부의 크기와 위치는 각막 지형도로 확인할 수 있다. 달무리와 눈부심은 특히 야간 운전을 방해하지만 3~6개월 안에 소실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기간이 지나도 증상이 계속되면 밤에 0.125% [[필로카르핀]]을 점안하여 동공을 수축시키거나 Alphagan-P (0.1% brimonidine) 로 확대된 동공을 감소시키면 도움이 된다. 이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 전 어두운 상태에서 동공 크기를 측정하여 7.5mm 이상이면 환자에게 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고, 8.5mm 이상이면 광학부 또는 이행부 (blend zone) 를 넓힐 것을 고려하며, 9.0mm 이상이면 수술을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