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유발 급성 충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콘택트렌즈]] 유발 급성 충혈 (contact lens-induced acute red eye; CLARE)''' 은 연속 착용 렌즈를 끼고 잔 후 일어났을 때 충혈과 눈물, 자극감 또는 통증을 느끼는 질환이다. 1/3 환자들은 자다가 심한 통증 때문에 깨어나기도 한다. 세극등 검사 상 결막과 윤부 주변부의 충혈, 미만성으로 환상으로 분포하는 다수의 국소적 침윤, 심한 경우 전방의 염증 소견이 나타나며 침윤이 각막 중심부에 생겼을 때는 시력 저하가 있을 수 있다. | '''[[콘택트렌즈]] 유발 급성 충혈 (contact lens-induced acute red eye; CLARE)'''{{콘택트렌즈}} 은 콘택트렌즈 사용 후 급성으로 발생하는 각막과 결막의 염증 반응이다. | ||
== 위험 인자 == | |||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 |||
== 임상 소견 == | |||
연속 착용 렌즈를 끼고 잔 후 일어났을 때 충혈과 눈물, 자극감 또는 통증을 느끼는 질환이다. 1/3 환자들은 자다가 심한 통증 때문에 깨어나기도 한다. 세극등 검사 상 결막과 윤부 주변부의 충혈, 미만성으로 환상으로 분포하는 다수의 국소적 침윤, 심한 경우 전방의 염증 소견이 나타나며 침윤이 각막 중심부에 생겼을 때는 시력 저하가 있을 수 있다. | |||
{{참고}} |
2023년 5월 9일 (화) 08:08 판
콘택트렌즈 유발 급성 충혈 (contact lens-induced acute red eye; CLARE)[1] 은 콘택트렌즈 사용 후 급성으로 발생하는 각막과 결막의 염증 반응이다.
위험 인자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임상 소견
연속 착용 렌즈를 끼고 잔 후 일어났을 때 충혈과 눈물, 자극감 또는 통증을 느끼는 질환이다. 1/3 환자들은 자다가 심한 통증 때문에 깨어나기도 한다. 세극등 검사 상 결막과 윤부 주변부의 충혈, 미만성으로 환상으로 분포하는 다수의 국소적 침윤, 심한 경우 전방의 염증 소견이 나타나며 침윤이 각막 중심부에 생겼을 때는 시력 저하가 있을 수 있다.
참고
- ↑ 최신 콘택트렌즈 임상학, 2판, 2024 (한국 콘택트렌즈 학회, 군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