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케네디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포스터-케네디 증후군 (Foster-Kennedy syndrome)</b> 은 후각 상실과 같은 눈 시신경 위축, 반대눈 시신경 유두 부종이 특징이다. == 병인 == 한쪽...)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포스터-케네디 증후군 (Foster-Kennedy syndrome)</b> 은 후각 상실과 같은 눈 시신경 위축, 반대눈 시신경 유두 부종이 특징이다.
'''포스터-케네디 증후군 (Foster-Kennedy syndrome, FKS)'''{{신경안과}} 은 후각 상실과 같은 눈 시신경 위축, 반대눈 시신경 유두 부종이 특징이다.
== 병인 ==
== 병인 ==
한쪽 시신경에 직접 압력을 가하는 두개내 병변은 대개 시신경 위축을 유발한다. 이러한 병변이 커지면 결국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한다. 압박된 시신경은 두개내압이 상승될 시기에 상당히 위축됙 상승된 두개내압은 반대편 눈에만 시신경 유두 부종을 유발한다.
한쪽 시신경에 직접 압력을 가하는 두개내 병변은 대개 시신경 위축을 유발한다. 이러한 병변이 커지면 결국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한다. 압박된 시신경은 두개내압이 상승될 시기에 상당히 위축됙 상승된 두개내압은 반대편 눈에만 시신경 유두 부종을 유발한다.
 
간혹 시신경 위축이 종양과 반대쪽에 위치하기도 하고, 두개내압 상승 없이 두개내 종양이 시신경을 비대칭적으로 압박하여 생길 수도 있다<ref>Watnick RL et al. Bilateral optic nerve compression as a mechanism for the FKS. ''Ophthalmology''. 1989 Dec;96(12):1793-8. [https://pubmed.ncbi.nlm.nih.gov/2560156/ 연결]</ref>. 실제로 진정한 의미의 진성 FKS는 극히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 원인 ==
== 원인 ==
전두엽 종양과 후각 고랑 수막종 (olfactory groove meningioma) 에서 주로 발생한다.
전두엽 종양과 후각 고랑 수막종 (olfactory groove meningioma) 에서 주로 발생한다.
== 감별 진단 ==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두눈 [[시신경염]] 또는 [[허혈 시신경병증]]에서 한눈 시신경 위축과 반대눈 시신경 유두 부종을 더 흔히 볼 수 있다(거짓 FKS). 이 경우 증상과 징후가 다르므로 진단에 어려움은 별로 없다.
{{참고}}

2023년 6월 6일 (화) 06:12 기준 최신판

포스터-케네디 증후군 (Foster-Kennedy syndrome, FKS)[1] 은 후각 상실과 같은 눈 시신경 위축, 반대눈 시신경 유두 부종이 특징이다.

병인

한쪽 시신경에 직접 압력을 가하는 두개내 병변은 대개 시신경 위축을 유발한다. 이러한 병변이 커지면 결국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한다. 압박된 시신경은 두개내압이 상승될 시기에 상당히 위축됙 상승된 두개내압은 반대편 눈에만 시신경 유두 부종을 유발한다.

간혹 시신경 위축이 종양과 반대쪽에 위치하기도 하고, 두개내압 상승 없이 두개내 종양이 시신경을 비대칭적으로 압박하여 생길 수도 있다[2]. 실제로 진정한 의미의 진성 FKS는 극히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원인

전두엽 종양과 후각 고랑 수막종 (olfactory groove meningioma) 에서 주로 발생한다.

감별 진단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두눈 시신경염 또는 허혈 시신경병증에서 한눈 시신경 위축과 반대눈 시신경 유두 부종을 더 흔히 볼 수 있다(거짓 FKS). 이 경우 증상과 징후가 다르므로 진단에 어려움은 별로 없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Watnick RL et al. Bilateral optic nerve compression as a mechanism for the FKS. Ophthalmology. 1989 Dec;96(12):1793-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