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오실린: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마이오실린 유전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마이오실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23년 8월 9일 (수) 02:32 판

마이오실린 유전자 (Myocilin gene; MYOC)

연소 개방각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차분석을 통하여 이 질환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1번 염색체상의 q21-q31 에 위치함을 보고하였으나 그 유전자의 실체를 밝히지는 못하였다. Human Genome Project 에 의해 이 위치에 몇 가지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그 중 하나가 Myocilin (MYOC) 유전자이며, 녹내장의 강력한 후보 유전자로 1997년 Stone 등에 의해 처음 소개된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이 유전자 의 돌연변이 를 보고하였다 GLC1A locus와 연관된 유전자로 처음 발견 되었을 때는 TIGR(Trabecular inducible glucocorticoid receptor)로 알려졌으나 그 후 Kubota에 의해 먼저 발견된 myocilin과 같은 유전자임이 알려져 MYOC로 정정되었다.이 유전자는 <psan style='color:blue;'>염색체 1q24.3-q25에 위치하며 3개의 exon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exon 3 에서 발견되고 있다. MYOC의 점돌연변이 중에서 Q368X는 녹내장 발생이 50대 후반에 나타나고 그와 반대로 Y437H 돌연변이는 20 대에서 나타난다.

병태 생리

이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MYOC 단백질은 분자량이 약 55kDa 정도 되는 당단백질인데 myocilin 이 어떻게 녹내장을 유발시키는가에 대해서 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예를 들면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myocilin 단백질이 소포체에 축적 되어 섬유주 세포에 독성효과를 주고 이로 인해 원발 개방각 녹내장으로 발병한다는 것과 변형된 myocilin 단백 질 이 섬유주를 통한 방수유출에 저항을 증가시켜 안압이 상승한다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