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각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목표 안압 |
잔글 →분류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병인 == | == 병인 == | ||
OAG의 안압 상승은 전방각이 열려 있으나 방수 유출로 즉 섬유주-쉴렘관-상공막 정맥에서 방수 유출의 저항이 증가되어 유발된다. | OAG의 안압 상승은 전방각이 열려 있으나 방수 유출로 즉 섬유주-쉴렘관-상공막 정맥에서 방수 유출의 저항이 증가되어 유발된다. | ||
== 연관 유전자 == | |||
* [[마이오실린|MYOC]] (Myocilin) | |||
* [[옵티뉴린|OPTN]] (Optineurin) | |||
* [[WDR36]] (WD repeat 36) | |||
* [[TLR4]] (Toll-like receptor 4) | |||
* [[OPA1]] (Optic atrophy type 1) | |||
* [[LOXL1]] (Lysyl oxidase-like 1) | |||
* [[CYP39A1]] | |||
== 분류 == | |||
* [[원발 개방각 녹내장]] (POAG) | |||
** [[정상 안압 녹내장]] (NTG) | |||
== 치료 == | == 치료 == | ||
| 17번째 줄: | 29번째 줄: | ||
최적의 치료 요법은 각각의 환자에게 주는 위험과 이익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OAG에서 치료의 시작은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답은 일률적으로 정할 수 없다. 최종적인 결정은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이루어져야 하고, 그 환자의 위험과 이익을 비교하고 치료의 비용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 최적의 치료 요법은 각각의 환자에게 주는 위험과 이익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OAG에서 치료의 시작은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답은 일률적으로 정할 수 없다. 최종적인 결정은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이루어져야 하고, 그 환자의 위험과 이익을 비교하고 치료의 비용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 ||
=== 약물 치료 === | |||
먼저 시작하는 방법으로, 한눈 치료 시도로 그 약의 효력 및 환자와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충분한 격려와 교육이 환자의 순응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된다. | |||
=== 레이저 === | |||
필요에 따라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시도할 수 있다. | |||
=== 수술 === | |||
현재 가장 많이 시행하는 녹내장 수술은 [[섬유주 절제술]]이다. 수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5-플루오로우라실]]과 [[미토마이신 씨]] 같은 항대사제를 창상 치유 억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절개 부위가 큰 섬유주 절제술에 비해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 (MIGS) 들이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다. | |||
수술 실패의 위험성이 높은 녹내장이나 항대사제를 사용한 섬유주절제술이 실패한 경우 등의 난치성 녹내장에 방수 유출 장치가 쓰여진다. 현대적 유출 장치의 원형인 몰테노 (Molteno) 장치를 비롯하여 [[아메드 밸브]], 바벨트 (Baerveldt) 장치 등이 있는데 국내에서는 주로 [[아메드 밸브]]가 널리 쓰이고 있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