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 흥분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교감신경 흥분제 (adrenergic agonist)'''{{녹내장}}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 α1 수용체 : 자극하면 산동, 혈관 수축, 안압 상승, 눈꺼풀 조임이 나타난다. | * α1 수용체 : 자극하면 산동, 혈관 수축, 안압 상승, 눈꺼풀 조임이 나타난다.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디피베프린]] (dipivefrin) : 에피네프린의 전구 약제 | * [[디피베프린]] (dipivefrin) : 에피네프린의 전구 약제 | ||
=== α2 교감 작동제 === | === α2 교감 작동제 === | ||
방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하강시키며 [[혈액-방수 장벽]]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 클로니딘 (clonidine) | * 클로니딘 (clonidine) | ||
* [[아프라클로니딘]] (apraclonidine) | * [[아프라클로니딘]] (apraclonidine) | ||
| 15번째 줄: | 16번째 줄: | ||
* 알레르기 반응 : [[아프라클로니딘]]의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여포성 결막염을 유발하는 것이며, 접촉성 피부염을 동반하기도 한다. 1% [[아프라클로니딘]]을 장기간 점안하였을 때 48% 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브리모니딘]]을 사용했을 때도 혁시 흔히 나타난다. | * 알레르기 반응 : [[아프라클로니딘]]의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여포성 결막염을 유발하는 것이며, 접촉성 피부염을 동반하기도 한다. 1% [[아프라클로니딘]]을 장기간 점안하였을 때 48% 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브리모니딘]]을 사용했을 때도 혁시 흔히 나타난다. | ||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눈꺼풀 조임, 산동, 결막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뮐러근]], 홍채 조임근, 동맥 평활근의 α<sub>1</sub> 수용체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디피베프린]]은 위의 부작용 외에도 혈관 수축이 되었다가 반응성 혈관 확장을 일으킨다. [[에피네프린]]은 아데노크롬 (adenochrome) 으로 변환되어 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무수정체안에서 낭포 황반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눈꺼풀 조임, 산동, 결막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뮐러근]], 홍채 조임근, 동맥 평활근의 α<sub>1</sub> 수용체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디피베프린]]은 위의 부작용 외에도 혈관 수축이 되었다가 반응성 혈관 확장을 일으킨다. [[에피네프린]]은 아데노크롬 (adenochrome) 으로 변환되어 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무수정체안에서 낭포 황반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 ||
{{녹내장_안약}} | {{녹내장_안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