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독성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중심 독성 각막병증 (central toxic keratopathy, CTK)'''{{각막}} == 광범위 절편 사이 각막염 (DLK) 과의 연관성 == 두 질환은 독립적으로 발생하...)
(차이 없음)

2023년 10월 20일 (금) 02:18 판

중심 독성 각막병증 (central toxic keratopathy, CTK)[1]

광범위 절편 사이 각막염 (DLK) 과의 연관성

두 질환은 독립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미만층판각막염이 선행한 뒤 중심독성각막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중심독성각막병증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Sonmez and Maloney5 는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14명 23안에서 중심 독성각막병증이 발생했으며, 그중 4안은 굴절교정레이저각 막절제술, 19안은 라식수술을 받았고 라식을 받은 19안 중 18안에서 미만층판각막염이 선행했음을 보고했다. Jutley et al8 은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라식수술 후 9명 15안에서 중 심독성각막병증이 발생했으며, 이 중 12안에서 미만층판각 막염이 선행했다고 보고했다.

임상 소견

라식 수술이나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 후 3일에서 9일째에 발생할 수 있으며, 전형적인 CTK의 소견은 발병 후 2~18개월 사이에 소실된다고 알려져 있다[2].

각막 기질을 침범하는 비염증성 혼탁과 각막 두께의 감소가 특징으로 일반적으로 통증이 없고, 급성으로 발병한다.

치료

경과 관찰이 우선이다. 스테로이드 치료는 CTK를 악화시킬 수 있다.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2. Moshirfar M et al. Central toxic keratopathy. Curr Opin Ophthalmol. 2010 Jul;21(4):274-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