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steroid-induced glaucoma; SIG)'''{{녹내장}} 은 스테로이드 투여로 인하여 섬유주에 세포외 바탕질이 축적되고 식세포 작용이 억제되어 섬유주 유출로 장애가 발생하는 이차 개방각 녹내장으로 설명되고 있다.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임상 증상이 비슷한 안압의 상승을 초래한다. 원발 개방각 녹내장 환자나 그들의 후손, 당뇨병 환자, 고혈압 환자, 그리고 고도 근시의 사람들은 스테로이드에 의한 안압 상승 효과가 특히 크다.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steroid-induced glaucoma; SIG)'''{{녹내장}} 은 스테로이드 투여로 인하여 섬유주에 세포외 바탕질이 축적되고 식세포 작용이 억제되어 섬유주 유출로 장애가 발생하는 이차 개방각 녹내장으로 설명되고 있다.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임상 증상이 비슷한 안압의 상승을 초래한다.
== 역학 ==
== 역학 ==
안압의 상승은 강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주, 약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개월 내에 발생하나 수년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스테로이드 안약을 점안한 후에 안압 상승이 일어나는 스테로이드 반응군 (steroid responder) 은 전체 인구의 18~36%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ref>Pleyer U et al. IOP effects of common topical steroids for post-cataract inflammation : are they all the same? ''Ophthalmol Ther''. 2013 Dec;2(2):55-72. [https://pubmed.ncbi.nlm.nih.gov/25135807/ 연결]</ref>.
안압의 상승은 강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주, 약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개월 내에 발생하나 수년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스테로이드 안약을 점안한 후에 안압 상승이 일어나는 스테로이드 반응군 (steroid responder) 은 전체 인구의 18~36%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ref>Pleyer U et al. IOP effects of common topical steroids for post-cataract inflammation : are they all the same? ''Ophthalmol Ther''. 2013 Dec;2(2):55-72. [https://pubmed.ncbi.nlm.nih.gov/25135807/ 연결]</ref>.
=== 스테로이드의 종류 ===
점안 치료와 국소 주사 치료 시행 시에 안압 상승이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신적 스테로이드 치료 또한 고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급성으로 안압이 상승하는 사례가 보고되어 있다<ref name=r3>Kersey JP et al. Corticosteroid-induced glaucoma : a review of the literature. ''Eye (Lond)''. 2006 Apr;20(4):407-16. [https://pubmed.ncbi.nlm.nih.gov/15877093/ 연결]</ref><ref>Gupta SR et al. Intravenous mPD can cause an acute, vision-threatening rise in IOP. ''J Clin Rheumatol''. 2010 Dec;16(8):397-8. [https://pubmed.ncbi.nlm.nih.gov/21085011/ 연결]</ref>.
== 병인 ==
== 병인 ==
스테로이드에 의한 안압 상승은 일반적으로 방수 유출의 장애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스테로이드에 노출될 때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섬유주세포 핵 내로의 이동이 일어난다.  
스테로이드에 의한 안압 상승은 일반적으로 방수 유출의 장애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스테로이드에 노출될 때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섬유주세포 핵 내로의 이동이 일어난다.  
12번째 줄: 9번째 줄:
* 탐식 작용의 변화 : 섬유주 내의 내피세포는 탐식 기능을 가지며 방수의 찌꺼기가 쉴렘관의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테로이드는 섬유주 내피의 탐식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섬유주에 방수의 찌꺼기의 축적을 유발하여 방수 유출을 저해한다고 한다.
* 탐식 작용의 변화 : 섬유주 내의 내피세포는 탐식 기능을 가지며 방수의 찌꺼기가 쉴렘관의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테로이드는 섬유주 내피의 탐식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섬유주에 방수의 찌꺼기의 축적을 유발하여 방수 유출을 저해한다고 한다.
* 유전적 영향 : dexamethason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dexamethasone에 노출된 섬유주 세포와 노출되지 않은 섬유주 세포에서 비교 관찰한 결과 myocilin 이외에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다만 스테로이드에 의한 안압 상승과 myocilin 혹은 optineurin 돌연변이와는 현재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전적인 영향에 대하여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유전적 영향 : dexamethason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dexamethasone에 노출된 섬유주 세포와 노출되지 않은 섬유주 세포에서 비교 관찰한 결과 myocilin 이외에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다만 스테로이드에 의한 안압 상승과 myocilin 혹은 optineurin 돌연변이와는 현재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전적인 영향에 대하여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스테로이드 입자에 의한 유출 차단 : 당뇨 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 내 triamcinolone 주사 후 안압이 상승한 한 예에서 흰색의 크리스탈 입자가 발견되었다. 이들 입자가 직접 섬유주를 막아 안압이 상승할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 스테로이드 입자에 의한 유출 차단 : 당뇨 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안압이 상승한 한 예에서 흰색의 크리스탈 입자가 발견되었다. 이들 입자가 직접 섬유주를 막아 안압이 상승할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 나이 : 소아 환자들을 배제하였을 때 이미 알려진 위험 인자는 고령이지만, 이정점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Phulke S et al. SIG : An Avoidable Irreversible Blindness. J Curr Glaucoma Pract. 2017 May-Aug;11(2):67-72. [https://pubmed.ncbi.nlm.nih.gov/28924342/ 연결]</ref>.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SIG의 발생 위험이 odds ratio 1.72로 보고된 것과 별도로 6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전방각이 성숙해지기 전에 구조적 이상이 일어나 높은 비율로 안압의 상승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ef>Roberti G et al. SIG :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Surv Ophthalmol. 2020 Jul-Aug;65(4):458-472. [https://pubmed.ncbi.nlm.nih.gov/32057761/ 연결]</ref>.
* 나이 : 소아 환자들을 배제하였을 때 이미 알려진 위험 인자는 고령이지만, 이정점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Phulke S et al. SIG : An Avoidable Irreversible Blindness. J Curr Glaucoma Pract. 2017 May-Aug;11(2):67-72. [https://pubmed.ncbi.nlm.nih.gov/28924342/ 연결]</ref>.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SIG의 발생 위험이 odds ratio 1.72로 보고된 것과 별도로 6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높은 비율로 안압의 상승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ref>Roberti G et al. SIG :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Surv Ophthalmol. 2020 Jul-Aug;65(4):458-472. [https://pubmed.ncbi.nlm.nih.gov/32057761/ 연결]</ref>, 이는 출생 후 전방각 구조가 완전히 성숙하기까지 약 8년 정도가 소요됨을 고려할 때 소아 섬유주의 구조적, 기능적 미성숙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f>Remé C et al. Periods of development of the normal human chamber angle. ''Doc Ophthalmol''. 1981 Jul 15;51(3):241-68. [https://pubmed.ncbi.nlm.nih.gov/7285772/ 연결]</ref>.
* [[원발 개방각 녹내장]]
* [[원발 개방각 녹내장]]
* 원발 개방각 녹내장의 일촌
* 원발 개방각 녹내장의 일촌
* 당뇨병
* 1형 당뇨<ref>Becker B. DM and POAG. The XXVII Edward Jackson Memorial Lecture. ''AJO''. 1971 Jan;71(1 Pt 1):1-16. [https://pubmed.ncbi.nlm.nih.gov/5099936/ 연결]</ref>
* (고도) 근시
* 고도 근시
* 교원 결합조직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 교원 결합조직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 [[전방각 후퇴 녹내장]] (angle recession glaucoma)
* [[전방각 후퇴 녹내장]] (angle recession glaucoma)
위험인자가 동반된 경우에는 치료 전에 기본 안압을 정해두고 안압을 수시로 측정하면서 최소의 약을 최소의 기간 내에 쓰는 것이 중요하다.
== 투여 경로 ==
== 투여 경로 ==
점안시에 가장 많이 생기지만 그 외에도 전신 투여, 안구 주위 스테로이드 주사, 부신 증식증이나 선종 (adenoma) 과 관련된 내인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ref>Zugerman C et al. Glaucoma from topically applied steroids. ''Arch Dermatol''. 1976 Sep;112(9):1326. [https://pubmed.ncbi.nlm.nih.gov/999318/ 연결]</ref>.
점안시에 가장 많이 생기지만 그 외에도 전신 투여, 안구 주위 스테로이드 주사, 부신 증식증이나 선종 (adenoma) 과 관련된 내인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ref>Zugerman C et al. Glaucoma from topically applied steroids. ''Arch Dermatol''. 1976 Sep;112(9):1326. [https://pubmed.ncbi.nlm.nih.gov/999318/ 연결]</ref>.
45번째 줄: 45번째 줄:
이들은 유전 인자와 관련이 깊다고 하였다.
이들은 유전 인자와 관련이 깊다고 하였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기저치와 비교할 때 성인의 약 5%에서 15 mmHg 이상 높은 안압상승을 보이고 35%에서 6~15 mmHg의 중등도의 안압상승을 보이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시신경 손상과 시야결손을 유발하여 SIG로 진행할 수 있다.3 소아의 경우 성인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데, 약 60%에서 15 mmHg 이상의 높은 안압상승을 보이고 녹내장성 변화가 더 빠르게 시작되고, 보다 심한 상태에서 진단되며, 진행 또한 빠른 경향이 있다.
기저치와 비교할 때 성인의 약 5%에서 15 mmHg 이상 높은 안압상승을 보이고 35%에서 6~15 mmHg의 중등도의 안압상승을 보이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시신경 손상과 시야결손을 유발하여 SIG로 진행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성인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데, 약 60%에서 15 mmHg 이상의 높은 안압상승을 보이고 녹내장성 변화가 더 빠르게 시작되고, 보다 심한 상태에서 진단되며, 진행 또한 빠른 경향이 있다<ref>Kaur S et al. Outcome of Ocular Steroid Hypertensive Response in Children. ''J Glaucoma''. 2016 Apr;25(4):343-7. [https://pubmed.ncbi.nlm.nih.gov/25651206/ 연결]</ref>.


전방각경 검사에서 개방각이며 안압은 21 mmHg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어, 증상이 없는 [[만성 개방각 녹내장]]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ref name=r3 />. 강한 스테로이드로 집중적인 점안 또는 전신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드물에 급성 녹내장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나이와 안구의 상태에 따라서 임상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 예로 스테로이드로 치료를 받은 유아는 [[선천 녹내장]]의 양상을 나타내나 나이든 사람은 [[정상 안압 녹내장]]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현재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고 추정하는 환자들도 과거에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한 안압 상승의 손상이 있었을 가능성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증상이 없는 만성 [[원발 개방각 녹내장]] 형태를 나타내나, 강한 스테로이드로 집중적인 점안 또는 전신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드물게 급성 녹내장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나이와 안구의 상태에 따라서 임상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 예로 스테로이드로 치료를 받은 유아는 [[선천 녹내장]]의 양상을 나타내나<ref>Turner JB. A clinical review of congenital glaucoma. ''South Med J''. 1971 Nov;64(11):1362-5. [https://pubmed.ncbi.nlm.nih.gov/5126800/ 연결]</ref> 나이든 사람은 [[정상 안압 녹내장]] (NTG) 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ref>Sugar HS. Low tension glaucoma : a practical approach. ''Ann Ophthalmol''. 1979 Aug;11(8):1155-71. [https://pubmed.ncbi.nlm.nih.gov/556143/ 연결]</ref>. 그러므로 현재 NTG라고 추정되는 환자들도 과거에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한 안압 상승의 손상이 있었을 가능성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 예후 ==
== 예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