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중심동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치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망막 중심동맥 폐쇄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CRAO)'''{{망막}} | '''망막 중심동맥 폐쇄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CRAO)'''{{망막}} 는 급성으로 나타나며, [[망막 동맥 폐쇄]] 중 가장 안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인다. | ||
== 역학 == | == 역학 == | ||
통계에 의하면 안과 내원 환자 10,000명 당 1명 꼴로, 전체 인구에서는 100,000명 당 8.5명으로 보고되었다. 60대 이상 고령에서 호발하나 드물게 소아나 젊은 성인에서도 발생하며, 남자에서 호발한다. 주로 편측에서 발생하지만, 1~2% 에서는 양안에서 동시에 생기기도 한다. 양안 발생률은 차이 없다. | 통계에 의하면 안과 내원 환자 10,000명 당 1명 꼴로, 전체 인구에서는 100,000명 당 8.5명으로 보고되었다<ref>Ryan SJ. Retina : 6th ed. Elsevier, 2017;1136-50.</ref><ref>Rumelt S et al. Aggressive systematic treatment for CRAO. ''AJO''. 1999 Dec;128(6):733-8. [https://pubmed.ncbi.nlm.nih.gov/10612510/ 연결]</ref>. 60대 이상 고령에서 호발하나 드물게 소아나 젊은 성인에서도 발생하며, 남자에서 호발한다. 주로 편측에서 발생하지만, 1~2% 에서는 양안에서 동시에 생기기도 한다. 양안 발생률은 차이 없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고혈압은 2/3에서, 당뇨병은 1/4에서 관찰된다. 50%에서 구조적인 심장 이상이 관찰되며 이 중 10%는 항응고제 치료나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경동맥 경화증은 약 45%의 환자에서 관찰된다. 혈액학적으로 심각한 경동맥의 협착(≥60%)이 18%에서 관찰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이 효과적인 치료이다.<br />혈액학적 검사 시 혈전을 형성하도록 하는 요소가 과도하거나 혈전을 녹이는 데 관여하는 인자가 부족하여 혈전 친화적인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프로트롬빈, factor V, 트롬빈의 증가, C 단백, S 단백, 항트롬빈 IIIㅡ이 감소, 플라스미노젠, 플라스민의 감소, lipoprotein A의 증가, 호모시스틴의 증가 등이 관찰된다. | 고혈압은 2/3에서, 당뇨병은 1/4에서 관찰된다. 50%에서 구조적인 심장 이상이 관찰되며 이 중 10%는 항응고제 치료나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경동맥 경화증은 약 45%의 환자에서 관찰된다. 혈액학적으로 심각한 경동맥의 협착(≥60%)이 18%에서 관찰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이 효과적인 치료이다.<br />혈액학적 검사 시 혈전을 형성하도록 하는 요소가 과도하거나 혈전을 녹이는 데 관여하는 인자가 부족하여 혈전 친화적인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프로트롬빈, factor V, 트롬빈의 증가, C 단백, S 단백, 항트롬빈 IIIㅡ이 감소, 플라스미노젠, 플라스민의 감소, lipoprotein A의 증가, 호모시스틴의 증가 등이 관찰된다. |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시야 검사 : 전반적이 시야 결손이 발생하며, 종종 맥락막 혈관에 의해 영양을 공급받는 코측 망막에 해당하는 귀측 시야 영역이 일부 남겨진다. [[섬모체망막 동맥]]이 있는 환자의 경우 중심 시야의 일부가 보존되기도 한다. | * 시야 검사 : 전반적이 시야 결손이 발생하며, 종종 맥락막 혈관에 의해 영양을 공급받는 코측 망막에 해당하는 귀측 시야 영역이 일부 남겨진다. [[섬모체망막 동맥]]이 있는 환자의 경우 중심 시야의 일부가 보존되기도 한다. | ||
== 치료 == | == 치료 == | ||
아직까지 치료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존적 치료부터 상당히 침습적인 치료까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환자의 22% 정도에서 시력 회복이 되며, 발병 후 3일이 지난 후에도 회복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하지만 발병 전 상태로 완전한 시력 회복을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의미 있는 시력 회복이 나타나는 경우는 10%도 안 된다. | 아직까지 치료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존적 치료부터 상당히 침습적인 치료까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환자의 22% 정도에서 시력 회복이 되며, 발병 후 3일이 지난 후에도 회복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ref>Connolly BP et 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presenting w CRAO w and wo GCA. ''Can J Ophthalmol''. 2000 Dec;35(7):379-84. [https://pubmed.ncbi.nlm.nih.gov/11192446/ 연결]</ref><ref>Duker JS et al. Recovery following acute obstruction of the retinal and choroidal circulations. A case history. ''Retina''. 1988;8(4):257-60. [https://pubmed.ncbi.nlm.nih.gov/3231917/ 연결]</ref>. 하지만 발병 전 상태로 완전한 시력 회복을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의미 있는 시력 회복이 나타나는 경우는 10%도 안 된다<ref>Meyer CH et al. Images in clinical medicine. Blurred vision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NEJM''. 2009 Dec 10;361(24):2366. [https://pubmed.ncbi.nlm.nih.gov/20007562/ 연결]</ref><ref>Rasmussen KE. Retinal and cerebral fat emboli following lymphography w oily contrast media. ''Acta Radiol Diagn (Stockh)''. 1970 May;10(3):199-202. [https://pubmed.ncbi.nlm.nih.gov/5491176/ 연결]</ref><ref>Perkins SA et al. The idling retina : reversible visual loss in CRAO. ''Ann Ophthalmol''. 1987 Jan;19(1):3-6. [https://pubmed.ncbi.nlm.nih.gov/3827065/ 연결]</ref>. | ||
동물 실험에서 망막 중심 동맥 폐쇄 후 97분까지는 망막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4시간 후에는 비가역적 손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다. 허혈된 시간이 길면 길수록 회복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사람에서는 동물 실험처럼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발명 후 24시간 이내에 치료가 시작될 수 있도록 권고된다. | 동물 실험에서 망막 중심 동맥 폐쇄 후 97분까지는 망막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4시간 후에는 비가역적 손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다. 허혈된 시간이 길면 길수록 회복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ref>Hayreh SS et al. CRAO : visual outcome. ''AJO''. 2005 Sep;140(3):376-91. [https://pubmed.ncbi.nlm.nih.gov/16138997/ 연결]</ref>. 사람에서는 동물 실험처럼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발명 후 24시간 이내에 치료가 시작될 수 있도록 권고된다. | ||
보존적 치료로 색전을 말단으로 밀어내기, 안압 하강, 망막 혈액순환 개선, 망막 혈관 확장, 망막 부종 감소, 망막 산소 분압을 높이는 방법 등이 있으나, 어떤 것도 효과가 있다고 확실히 증명되지는 않았고, 한 치료법이 다른 치료법에 비해 더 우월하다는 연구 결과도 아직 없다. | 보존적 치료로 색전을 말단으로 밀어내기, 안압 하강, 망막 혈액순환 개선, 망막 혈관 확장, 망막 부종 감소, 망막 산소 분압을 높이는 방법 등이 있으나, 어떤 것도 효과가 있다고 확실히 증명되지는 않았고, 한 치료법이 다른 치료법에 비해 더 우월하다는 연구 결과도 아직 없다. | ||
* 안구 마사지 : 망막 동맥을 확장시켜 망막 관류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골드만 콘택트렌즈나 손가락으로 약 10~15초간 안구를 압박한 후 갑자기 힘을 빼는 식으로 반복하여 시행한다. 이를 통해 동맥을 막고 있는 색전을 밀어내고 망막 동맥을 확장시켜 망막 관류를 향상시킬 수 있다<ref>Ffytche TJ. A rationalization of treatment of CRAO. ''Trans Ophthalmol Soc U K''. 1974 Jul;94(2):468-79. [https://pubmed.ncbi.nlm.nih.gov/4619853/ 연구]</ref>. 안압이 60mmHg까지 상승하면 망막동맥 혈관이 16% 정도 확장되고 이후 갑자기 안압이 하강하면 망막 혈류가 86% 정도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 * 안구 마사지 : 망막 동맥을 확장시켜 망막 관류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골드만 콘택트렌즈나 손가락으로 약 10~15초간 안구를 압박한 후 갑자기 힘을 빼는 식으로 반복하여 시행한다. 이를 통해 동맥을 막고 있는 색전을 밀어내고 망막 동맥을 확장시켜 망막 관류를 향상시킬 수 있다<ref>Ffytche TJ. A rationalization of treatment of CRAO. ''Trans Ophthalmol Soc U K''. 1974 Jul;94(2):468-79. [https://pubmed.ncbi.nlm.nih.gov/4619853/ 연구]</ref>. 안압이 60mmHg까지 상승하면 망막동맥 혈관이 16% 정도 확장되고 이후 갑자기 안압이 하강하면 망막 혈류가 86% 정도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 ||
* 전방 천자 : 안압을 급속히 떨어뜨려 망막동맥 내 관류압을 증가시켜 혈액 순환을 향상시기고 색전을 밀어낼 수도 있다. 조기 전방 천자로 망막 중심 동맥 폐쇄 후 1개월째의 시력이 1/3 정도 호전되었다는 보고도 있지만, 치료하지 않은 환자군과 비교하여 시력 결과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도 있다. 국소 점안마취 후 30G 주시기로 각막 윤부를 통하여 0.1~0.4 mL의 전방수를 빼낸다. 안압 하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CAI를 사용하기도 힌다. | * 전방 천자 : 안압을 급속히 떨어뜨려 망막동맥 내 관류압을 증가시켜 혈액 순환을 향상시기고 색전을 밀어낼 수도 있다. 조기 전방 천자로 망막 중심 동맥 폐쇄 후 1개월째의 시력이 1/3 정도 호전되었다는 보고도 있지만, 치료하지 않은 환자군과 비교하여 시력 결과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도 있다<ref>Johnson LN et al. CRAO following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Ann Ophthalmol''. 1985 Jun;17(6):359-62. [https://pubmed.ncbi.nlm.nih.gov/4014930/ 연결]</ref><ref>Brown GC et al. Sudden occlusion of the retinal and posterior choroidal circulations in a youth. ''AJO''. 1979 Oct;88(4):690-3. [https://pubmed.ncbi.nlm.nih.gov/507140/ 연결]</ref><ref name=r13>Atebara NH et al. Efficacy of AC paracentesis and Carbogen in treating acute nonarteritic CRAO. ''Ophthalmology''. 1995 Dec;102(12):2029-34; discussion 2034-5. [https://pubmed.ncbi.nlm.nih.gov/9098313/ 연결]</ref>. 국소 점안마취 후 30G 주시기로 각막 윤부를 통하여 0.1~0.4 mL의 전방수를 빼낸다. 안압 하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CAI를 사용하기도 힌다. | ||
* 95% 산소와 5% 이상화탄소 혼합 기체 흡입 : 고농도의 산소 흡입은 맥락막으로부터 산소 공급이 증가하여 망막 조직 내 산소 분압이 높아지고 이산화탄소는 혈관을 확장시켜 망막 혈류를 증가시키나, 그 효과는 아직 불분명하다. 고압 산소 요법으로 동맥 내 산소 분압을 높이고, 산화 질소 생성을 유도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다는 증례 보고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 * 95% 산소와 5% 이상화탄소 혼합 기체 흡입 : 고농도의 산소 흡입은 맥락막으로부터 산소 공급이 증가하여 망막 조직 내 산소 분압이 높아지고 이산화탄소는 혈관을 확장시켜 망막 혈류를 증가시키나, 그 효과는 아직 불분명하다<ref name=r13 />. 고압 산소 요법으로 동맥 내 산소 분압을 높이고, 산화 질소 생성을 유도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다는 증례 보고가 있기는 하다<ref>Kim SH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CRAO using hyperbaric oxygen therapy. ''Clin Exp Emerg Med''. 2018 Dec;5(4):278-281. [https://pubmed.ncbi.nlm.nih.gov/30571907/ 연결]</ref><ref>Butler FK et al. Management of CRAO following successful hyperbaric oxygen therapy : case report. ''Undersea Hyperb Med''. 2018 Jan-Feb;45(1):101-107. [https://pubmed.ncbi.nlm.nih.gov/29571239/ 연결]</ref>. 하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 ||
* Nd:YAG 레이저 : 레이저를 사용하여 혈관 내 색전을 조각내거나 (photofragmentation) 유리체강내로 제거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 * Nd:YAG 레이저 : 레이저를 사용하여 혈관 내 색전을 조각내거나 (photofragmentation) 유리체강내로 제거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ref>Opremcak E et al. Restoration of retinal blood flow via translumenal Nd:YAG embolysis/embolectomy (TYL/E) for CRAO and BRAO. ''Retina''. 2008 Feb;28(2):226-35. [https://pubmed.ncbi.nlm.nih.gov/18301027/ 연결]</ref>. | ||
* 혈전용해제 : 뇌졸중에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급성 CRAO에서도 이를 사용하여 좋은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무작위 배정 임상 연구에 따르면 보존적 치료 환자와 동맥 내 tPA 사용 환자 사이에 시력 개선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1개월째 0.3 logMAR 시력 개선이 보존적 치료군에서는 60%, 혈전용해제 사용군에서는 57%로 나타났고, 치료군에서 뇌출혈 등의 부작용이 오히려 더 많이 발생하였다<ref>Schumacher M et al; EAGLE group. CRAO : local intra-arterial fibrinolysis vs. conservative treatment,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0 Jul;117(7):1367-75.e1. [https://pubmed.ncbi.nlm.nih.gov/20609991/ 연결]</ref>. | * 혈전용해제 : 뇌졸중에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급성 CRAO에서도 이를 사용하여 좋은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무작위 배정 임상 연구에 따르면 보존적 치료 환자와 동맥 내 tPA 사용 환자 사이에 시력 개선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1개월째 0.3 logMAR 시력 개선이 보존적 치료군에서는 60%, 혈전용해제 사용군에서는 57%로 나타났고, 치료군에서 뇌출혈 등의 부작용이 오히려 더 많이 발생하였다<ref>Schumacher M et al; EAGLE group. CRAO : local intra-arterial fibrinolysis vs. conservative treatment,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0 Jul;117(7):1367-75.e1. [https://pubmed.ncbi.nlm.nih.gov/20609991/ 연결]</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