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효과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치료 콘택트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콘택트렌즈}} 는 시력 교정보다는 각막 창상 치유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CL) 를 말한다.
'''치료 콘택트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콘택트렌즈}} 는 시력 교정보다는 각막 창상 치유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CL) 를 말한다.
== 역사 ==
== 역사 ==
1800년대 의사인 Xavier Glezowsk가 'Plaquettes' 라는 젤라틴 물질을 이용한 치료용 렌즈를 처음 사용한 이래, Miller가 유리로 보호용 덮개를 [[토안]] 환자에게 21년간 착용시켰다는 기록이 있다.1950년대 후반 PMMA [[하드 콘택트렌즈]]를 백내장 수술 후 시력 보완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1960년대 초부터 사용하였다.<br />&nbsp;&nbsp;1970년대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개와 더불어 치료용 렌즈의 사용도 많은 발전을 하게 되었는데, 1973년 American Optical 사가 치료용 렌즈를 FDA로부터 공인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를, 1979년도에는 Copper 사의 'Perma' 렌즈가 치료용으로 개발되어 각막 미란, 마비성 각막염, 각막 천공 등에 사용되었다. 또한 Breath-O 렌즈와 Perma 렌즈가 무수정체안에 연속 착용 렌즈로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치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격이 비싸고 산소 투과성이 낮고 소독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으나, 1987년 이후에는 가격이 싸고 소독이 필요 없는 일회용 렌즈로 대체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상피 재생 장애, 수포 각막병증, 반복 각막 미란, 실모양 각막염 등의 치료 목적 뿐만 아니라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 후에도 통증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졌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 최근에는 다른 렌즈로도 치료에 실패한 경우 각막 창상의 보호를 위해 공막 렌즈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ref>Ridley F. Therapeutic uses of scleral contact lenses. ''Int Ophthalmol Clin''. 1962 Oct;2:687-716. [https://pubmed.ncbi.nlm.nih.gov/13982241/ 연결]</ref>. 가스-투과 공막 렌즈는 좀 더 최근에 만들어 졌고, 이로 인해 기존 공막 렌즈의 단점인 저산소증을 부분적으로 해결하여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였다<ref>Schein OD et al. A gas-permeable scleral contact lens for visual rehabilitation. ''AJO''. 1990 Mar 15;109(3):318-22. [https://pubmed.ncbi.nlm.nih.gov/2309865/ 연결]</ref>. 1990년대 말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소개되었는데, 이 렌즈는 높은 Dk/t (산소 전달률) 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장점을 보여 다양한 각막 질환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f>Lim L et al. Therapeutic use of B&L PureVision CL. ''CLAO J''. 2001 Oct;27(4):179-85. [https://pubmed.ncbi.nlm.nih.gov/11725978/ 연결]</ref>.
 
== 기전 ==
== 기전 ==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12번째 줄: 13번째 줄: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효과 ==
== 선택 ==
각막 상피 치유를 촉진하고 바닥막에의 상피 부착을 증진시켜 [[반복 각막 진무름]], [[실모양 각막염]],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외상성 상피 손상, 각막 내피 부전에 의한 각막 상피 장애 등의 치료에서 다른 치료법들이 실패했을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TCL을 선택할 때는 다양한 각막 표면 질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반대로 TCL이 각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두 알아야 한다. 렌즈는 다음 세 가지 기전을 통해 각막 생리에 영향을 준다.
노출 각막염, 단순 포진과 대상 포진에 의한 영양 궤양 각막, 화학적 손상, 주변 각막 궤양 등의 만성 각막 상피 결손 기질 궤양, 각막 천공 및 데스메막류, 거짓 가장자리 각결막염, 눈알의 흉터, 건성안에서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 다앙한 정도의 저산소증을 일으킨다.
그 외 눈꺼풀 이상이 있는 경우 안구 표면을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일시적인 물리적 장벽의 역할도 하고 국소적으로 투여한 약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눈알 화상 시 결막 붙음증 예방 목적으로, 드물게는 가림 치료시 약시안에 치료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각막 표면의 눈물막 분배 정도를 바뀌게 한다.
== 분류 ==
* 각막 상피의 저강도의 기계적 외상을 입힌다.
* 고함수율의 렌즈 : 두께 0.15~2.0mm, 함수량 70~80%
 
* 중간 두께의 렌즈
가장 이상적인 렌즈는 이러한 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각막 표면 질환의 치유를 돕는 것이다.  시력이 없는 눈과 같이 편안함이 가장 중요한 경우가 아닌 한, 각막으로의 산소 전달이 렌즈를 통해 최대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각막 상처 치유를 목적으로 CL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Dk (oxygen permeability, 산소투과율) 가 매우 중요하다. TCL이 필요한 눈은 일반적인 눈과 생리적으로 다를 수 있다. 특히, 산소 수송에 관여하는 조직에 이상이 생긴 각막내피 이상증인 경우에도 TCL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산소투과율이 중요하다.
* 초박 (ultrathin) 렌즈 : 두께 0.01~0.16mm, 함수율 약 40%
 
눈물막도 중요한데, TCL이 필요한 눈은 일반적으로 각막 표면이 불규칙하여 눈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눈물 생성도 제한되어 있다. 건조한 눈에서는 렌즈 재질의 습윤각 (wetting angle) 과 렌즈를 감싸는 눈물분포가 중요하다. 심한 안구 표면 질환이 있거나 노출이 심한 눈은 각막을 습윤하기 위한 렌즈 뒤편의 눈물 저장고 유지가 중요하다. 또한 TCL은 렌즈 움직임 이 일반 SCL보다 작아야 이물감이 적고, 치유 중인 각막상피 에 대한 자극도 적으며, 과도할 경우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보통 렌즈 장착 시 렌즈 직경 및 기본 곡율이 중요하지만, TCL의 경우에는 적당한 시상 깊이가 더욱 중요하다. 대부분 TCL을 지속적으로 착용하게 되기 때문에 생리적인 환경 고려가 특히 중요한데, TCL이 너무 가파르게 처방되면 렌즈가 공막을 누르고 결막 혈관이 창백해지며 장시간 착용 시 렌즈 유착 증후군 (tight lens syndrome) 을 유발할 수 있다. 또 고려해야 할 사항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과 TCL이 작옹하는 기전이다. 예를 들어 치료 목적이 각막 상피의 치유와 보호라면, 저산소증의 합병증은 피하면서 적절한 장착이 되어야 한다<ref>Foulks GN et al. TCL : the role of high-Dk lenses. ''Ophthalmol Clin North Am''. 2003 Sep;16(3):455-61. [https://pubmed.ncbi.nlm.nih.gov/14564766/ 연결]</ref>. 요약하면 치료 목적으로 렌즈를 사용할 경우 각 질환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렌즈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 종류 ==
=== 일회용 하이드로겔 ===
일회용 하이드로겔 CL은 [[반복 각막 진무름]][[실모양 각막염]], [[수포 각막병증]], [[신경마비 각막병증]]8 등과 같은 질환에서 치료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치료용으로 쓰일 때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특히 낮은 가격으로 정기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렌즈 오염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렌즈 역시 기존의 렌즈와 마찬가지로 저산소증, 감염 각막염 등의 위험성이 있다.
=== 실리콘 하이드로겔 ===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는 치료 목적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었으나9, 취침 시 착용할 경우 각막 부종을 피하기 위한 최소 수준의 Dk/t를 만족시키지 못했다10. 대부분의 TCL이 취침 시에도 착용되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높은 Dk/t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 장점으로 작용하며,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높은 Dk/t를 가진다.
* 낮은 함수율을 가지고 있어 눈에서 탈수를 덜 일으킨다.11
* 녹농균이 적게 붙는 경향이 있어 각막상피가 얇아질 가능성이 줄어들고, 각막 감염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눈물의 lactate dehydrogenase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12
 
몇몇의 연구에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치료 목적으로 시용한 결과를 발표하였는데,안구표면 질환에서 lotrafilcon A를 사용하면 안전하고 효과적이 라는 결과가 있었다. 특히 렌즈를 착용하고 교체하는 것이 각막상피 손상,통증 감염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환자에서, 이 렌즈는 자주 교제할 필요가 없어 장점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13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위로 높은 Dk를 가지는 RGP렌즈를 장착하여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된 결과도 있었다. SCL을 장착할 때는 필요로 하는 면적을 전부 커버해야 하고, 눈 깜박임 시 덜 움직여야 하며, 윤부 혈관을 누르지 않게 해야 한다.
=== 실리콘 고무 ===
실리콘 고무는 산소 투과율이 매우 높아 과거에 속눈썹증이나 눈꺼풀이 잘 감기지 않는 질환에서 TCL로 많이 쓰였다. 부드럽고 두께가 얇은 (0.1~0.15mm) 반면, 표면에 단백질과 점액이 쉽게 침착하고 지방을 흡수하
는 경향이 있어 사용 빈도가 감소하였다.
=== 하드 콘택트렌즈 (HCL) ===
HCL은 시력 교정 및 치료, 두 가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각막 직경보다 작긴 하지만,이상한 방향으로 자라난 속눈썹이나 다른 외부 요인들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기에는 충분하다. 가끔 직경이 큰 렌즈가 사용되기도 한다. [[원추각막]],[[공모양 각막]] 및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등과 같은 질환에서는 각막 난시가 심해지기 때문에 양면 토릭 렌즈가 쓰이기도 한다.
=== 공막 렌즈 ===
공막렌즈는 100년 이상 치료 목적으로 시용되어 왔고, 특히 다른 렌즈를 시용할 수 없는 반흔 조직이 동반된 건조안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이 렌즈의 장점은 눈 모양에 상관 없이 장착될 수 있고, 각막과 안구 결막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막 렌즈는 직경에 따라 분류되며, 윤부에 눈물 고임이 있어야 하고, 각막 중심 부위는 렌즈와 접촉이 없어야 한다. 각막 부종을 피하기 위해 내피세포 수가 1,000/㎟ 이상 되어야 사용 가능하며, 주변의 지지부는 공막 위에 위치하며, 비정상이거나 질환이 있는 각막 위에서 렌즈가 눈물층을 만들어 일정한 거리를 갖고 위치하게 한다. 공막 렌즈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각막에 접촉이 없다.
* 어떤 형태의 눈에도 피팅이 가능하다.
* 각막과 구결막이 완전히 보호된다.
* 가스 투과성 재료를 사용하여 밀봉 피팅이 가능하다.
* 착용 과정이 단순하다.
* 밤새 착용이 가능하다.
=== 아교질 렌즈 ===
아교질은 이질적인 생물학적 환경에서 분해되며, 영구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결국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흡수성 봉합사,화상의 드레싱、안면부 연조직 증대술 등 여러 의학 목적으로 사용된다. 안과적 영역에서는 공막 돌륭술 재료, 눈물관 플러그, 외안부 패치 등에 사용된다.
 
CL 모양의 collagen shields는 각막을 보호하고 각막 상피 상처의 치유를 촉진한다15. 아교질은 수용성 약물을 흡수하여 녹을 때 약물을 방출하므로 약물 투여에 이용될 수 있는데, 점안 안약이나 결막 주사보다 농도가 높은 약물을 안구 표면에 전달할 수 있다.
 
=== 양막 렌즈 ===
양막은 EGE TGF-a, TGF-pl. TGF-p2, VEGE 促F 등 여러 가지 성장인사를 가시고 있어서 안구 표면 질환에 많이 이용되있다. 하지만 각막이나 결막에 봉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봉합사에 의한 합병증이 있었다. 최근 교차 결합을 이용한 CL 타입의 양막 렌즈가 개발되어 [[수포 각막병증]], [[각막 화상]], [[신경영양 각막염]], 만성 각막상피 결손 등에서 각막 상피 재생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 적응증 ==
== 적응증 ==
=== [[수포 각막병증]] ===
=== [[수포 각막병증]] ===
이  질환은 각막 내피세포의 기능 저하로 만성 각막 부종이 생기는 것으로서, 통증, 눈물 흘림, 눈꺼풀 경련, 눈부심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각막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침범 당하게 되고, 심한 부종으로 인해 뿌옇게 변하게 되어 시력 감소를 일으킨다. 각막 상피에 물집이 잡히게 되는데, 물집이 터지면 신경 말단이 노출되어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급성으로 상피 부종이 일어날 경우에도 신경 말단이 늘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최근에 발병되어 주로 각막 상피에 병변이 있는 경우, 친수성 TCL 착용 시 대부분 즉각적으로 통증이 완화되고 시력 호전에도 도움을 준다<ref>Gasset AR et al. Therapeutic uses of hydrophilic contact lenses. ''AJO''. 1970 Feb;69(2):252-9. [https://pubmed.ncbi.nlm.nih.gov/5414007/ 연결]</ref>. 무수정체 환자에서는 질환 치료와 동시에 굴절 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도수가 들어간 렌즈를 장착할 수 있다<ref>Speedswll L.  A  review of therapeutic lenses.  ''Optician'' 1991;202:25-30.</ref>. 하지만 육안적으로 각막 기질 부종과 데스메막의 주름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 시력 호전은 적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ref>Leibowitz HM et al. Hydrophilic CL in corneal disease. II. Bullous keratopathy. ''Arch Ophthalmol''. 1971 Mar;85(3):283-5. [https://pubmed.ncbi.nlm.nih.gov/5542864/ 연결]</ref>. 렌즈 제거 시 통증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 지속적으로 착용하게 되나, 렌즈의 착용 기간은 질환의 심한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각막 주변부 신생혈관은 추후 각막이식의 성공률을 결정하는 한 요소이긴 하지만 렌즈 장착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편안함 정도이다. 두껍고 함수이 높은 렌즈를 기본 커브가 편평하게 처방하면 물집을 물리적으로 편평하게 만들고,함수율이 높은 렌즈는 각막 상피의 탈수 효과를 나타낸다. 렌즈 선택 시 Dk/t도 고려해야 하며, 이 경우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가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다. TCL의 사용에 관한 연구에서 몇몇 수포 각막병증 환자들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딱딱함 때문에 편안함이 덜하다고 느꼈는데<ref>Montero J et al. Retrospective case series of therapeutic applications of lotrafilcon a silicone hydrogel SCL. ''Eye Contact Lens''. 2003 Apr;29(2):72-5. [https://pubmed.ncbi.nlm.nih.gov/12695706/ 연결]</ref> 2세대 렌즈들은 착용 시 불편감이 덜하다.
===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푹스 내피세포 이상증]] ===
===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푹스 내피세포 이상증]] ===
양안 각막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이 생기며 천천히 진행하는 질환으로 결국 각막 부종과 수포 각막병증을 일으키게 된다. 각막이식 전에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친수성 CL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 장착은 수포 각막병증과 비슷하다.
=== [[반복 각막 진무름]] (RCE) ===
바닥막 복합체의 손상으로 인해 기질이 상피에 단단하게 붙지 못하여 발생하고,바이러스성 및 세균 각막염과 각막 이상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동반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손가락에 의한 눈 찔림과 같은 각막의 경한 외상이며,이는 만성적으로 각막 미란의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저막이 불완전하게 재형성되는 몇개월 동안은 만성적으로 고통스러운 상피 미란의 재발이 반복될 수 있다. SCL은 물리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상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 렌즈는 상피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몇 개월에 걸쳐 반결합체가 완전히 재형성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ref>Gipson IK et al. Reassembly of the anchoring structures of the corneal epithelium during wound repair in the rabbit. ''IOVS''. 1989 Mar;30(3):425-34. [https://pubmed.ncbi.nlm.nih.gov/2925314/ 연결]</ref>. 따라서 완전한 재상피화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TCL을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상피 벗겨짐이 대부분 밤이나 아침 기상 시 막 눈을 뜰 때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렌즈 착용이 권유된다.
이 질환에서 일회용 렌즈는 기존 렌즈에 비해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적이다. Dk/t가 높고 두께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사용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고 각막 부종도 적다. 잘 낫지 않는 RCE나 수술 후 생긴 각막 상피병증이 lotrafilcon A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로 치료에 성공한 15예가 발표된 적도 있다<ref>Ambroziak AM et al. Therapeutic use of a silicone hydrogel CL in selected clinical cases. ''Eye Contact Lens''. 2004 Jan;30(1):63-7. [https://pubmed.ncbi.nlm.nih.gov/14722474/ 연결]</ref>.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2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눈에 더 편안감을 준다. 이 질환에는 렌즈 외에도 윤활제, 고장성 약물, 점안 항생제나 조절 마비제가 필요할 수 있다. 종종 기계적인 창상 절제 및 압박 안대의 치료가 도움이 되지만, 수 일의 치유 과정이 필요하거나 지속적인 통증 및 드레싱으로 인한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 [[반복 각막 진무름]]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결막의 충혈 및 염증이 거의 없는 거친 양상의 점상 상피각막염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각막 중심부와 시축에 주로 혼탁이 생긴다. 질병 경과는 대부분 만성적이며 한 번에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지속되는 악화와 호전이 특징이다. 양안성이나, 양안이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비대칭적인 병변이 발견되기도 한다. 활성기에 환자는 눈부심, 이물감, 눈물 흘림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시력 감소를 호소할 수 있다. 세극등 검사에서 별이나 눈송이 모양의 상피 내 점상 침착물이 수많은 미세한 과립상의 회백색 점상 혼탁을 이루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피 표면을 뚫고 중심부가 솟아올라 있어, 불규칙적인 각막 표면을 형성하므로 형광염색 시 불완전하게 염색되며, 이 불규칙한 표면 때문에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회복기에 환자는 무증상이며, 각막 병변도 편평해지고, 희미한 회색의 혼탁이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을 수 있다. SCL은 증상을 완화하며 상피 병변의 회복을 유도하고, 불규칙직인 각막 표면을 호전시키므로 시력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낮은 함수율의 매우 얇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증상을 완화하며 유용하게 사용된다<ref>Caroline PJ et al. When the eye need a bandage. ''Contact Lens Spectrum'' 2001;16:56.</ref>.
결막의 충혈 및 염증이 거의 없는 거친 양상의 점상 상피각막염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각막 중심부와 시축에 주로 혼탁이 생긴다. 질병 경과는 대부분 만성적이며 한 번에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지속되는 악화와 호전이 특징이다. 양안성이나, 양안이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비대칭적인 병변이 발견되기도 한다. 활성기에 환자는 눈부심, 이물감, 눈물 흘림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시력 감소를 호소할 수 있다. 세극등 검사에서 별이나 눈송이 모양의 상피 내 점상 침착물이 수많은 미세한 과립상의 회백색 점상 혼탁을 이루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피 표면을 뚫고 중심부가 솟아올라 있어, 불규칙적인 각막 표면을 형성하므로 형광염색 시 불완전하게 염색되며, 이 불규칙한 표면 때문에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회복기에 환자는 무증상이며, 각막 병변도 편평해지고, 희미한 회색의 혼탁이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을 수 있다. SCL은 증상을 완화하며 상피 병변의 회복을 유도하고, 불규칙직인 각막 표면을 호전시키므로 시력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낮은 함수율의 매우 얇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증상을 완화하며 유용하게 사용된다<ref>Caroline PJ et al. When the eye need a bandage. ''Contact Lens Spectrum'' 2001;16:56.</ref>.
61번째 줄: 104번째 줄:
== 경과 관찰 ==
== 경과 관찰 ==
건강한 눈보다 질병이 있는 눈에서는 CL 착용 시 렌즈 관련 합병증의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처방 후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하다. 추적 관찰 시 치료 경과를 살필 수 있고, 렌즈 교체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큰 각막 병변은 CL을 통해서 관찰 가능하며, 렌즈를 제거하거나 장착 시 조심해야 한다. 추적 관찰의 빈도는 원인 질환과 환자에 좌우되게 된다.
건강한 눈보다 질병이 있는 눈에서는 CL 착용 시 렌즈 관련 합병증의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처방 후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하다. 추적 관찰 시 치료 경과를 살필 수 있고, 렌즈 교체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큰 각막 병변은 CL을 통해서 관찰 가능하며, 렌즈를 제거하거나 장착 시 조심해야 한다. 추적 관찰의 빈도는 원인 질환과 환자에 좌우되게 된다.
== 약물 투여 ==
점안제나 연고로 약을 점안했을 때 처음에는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빠른 속도로 농도가 감소하여 효과에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농도로 안약을 점안하면 오히려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친수성 CL은 긴 시간 천천히 저용량의 약을 안구표면에 공급할 수 있어, 효과는 높이면서 독성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여러 방법을 통해 약을 하이드로겔 렌즈에 추가시킬 수 있는데,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은 약의 수용성 구조에 렌즈를 적시는 것이다, 이 외에도 눈에 노출되면 하이드로겔 렌즈에서 확산되어 나와 활성화된 구조로 바뀌는 수용성 약물 전구체를 이용하거나, 렌즈 중합체에 약물을 유착시켜 안구 표면이나 눈물에 노출되면 약물과 렌즈 중합체간의 결합이 끊어져서 약이 유출되게 하는 방법 등이 쓰인다. 한 연구에서는 약물 전달의 방법으로 친수성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 각막 및 전방 내에 높은 농도의 약을 유지시키는 데는 친수성 렌즈가 좋다고 결론지었다<ref>Waltman SR et al. Use of hydrophilic CL to increase ocular penetration of topical drugs. ''Invest Ophthalmol''. 1970 Apr;9(4):250-5. [https://pubmed.ncbi.nlm.nih.gov/5435768/ 연결]</ref>. 이후 [[필로카르핀]], 젠타마이신 (gentamycin), 5-iodo-2-desoxyuridine (IDU) 등 여러 약제를 하이드로겔 렌즈를 통해 전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약의 분자량은 친수성 렌즈에 의해 얼마나 흡수되는지에 영힝을 주는데, 큰 분자링을 가진 물질은 적은 분자량을 가지는 물질에 비해 덜 통과된다. 두껍고 함수율이 높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얇고 저함수율의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더 많은 양의 수용성 약물을 흡수하고,더 빨리 안구 표면으로 방출하므로 약물 투여 렌즈로 적합하다.
== 추가 용도 ==
하이드로겔 렌즈는 안압계 등 각막과 직접 접촉하는 검사들로부터 각막을 보호할 수 있다. 어 떤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안압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안압을 재기 위해 렌즈를 제거할 수도 있지만, [[반복 각막 진무름]]과 같은 질환을 치료 중인 환자가 렌즈를 제거하는 것은 오히려 병의 경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비접촉성 안압계를 이용하거나 접촉 안압계를 사용해야 한다면 하얀 빛이나 고분자량의 플루오레신을 이용하여 TCL 위로 안압을 절 수 있다. 렌즈를 제거하고 전 안압과 매우 얇은 렌즈 위로 잰 안압은 비슷하다고 한 결과도 있고<ref>Meyer RF et al. Mackay-Marg tonometry over soft TCL. ''AJO''. 1978 Jul;86(1):19-23. [https://pubmed.ncbi.nlm.nih.gov/354394/ 연결]</ref>, 도수가 들어간 렌즈를 착용한 경우 좋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 결과도 있다<ref>Insler MS et al. IOP by NCT w and wo SCL. ''Arch Ophthalmol''. 1987 Oct;105(10):1358-9. [https://pubmed.ncbi.nlm.nih.gov/3662907/ 연결]</ref>.
그 외에도 [[당뇨 망막병증]] 환자에서 망막의 광응고술 시행 시나 공막 함입술 시 각막 상피를 보호하거나, [[원추각막]] 혹은 다른 각막 이상이 있는 질환에서 피기백 (pIggyback) 장착 시 환자의 편안감을 위해, 또는 [[원추각막]] 환자가 접촉성 스포츠를 할 때 RGP렌즈 위로 하이드로겔 렌즈를 장착시켜 렌즈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 합병증 ==
== 합병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