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
잔글 →피팅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따라서 렌즈 착용사에게 이러한 컬러 CL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과 주의를 주는 것이 필요하겠다. | 따라서 렌즈 착용사에게 이러한 컬러 CL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과 주의를 주는 것이 필요하겠다. | ||
=== 산소 전달률 (Dk/t) === | |||
Laminate construction 방식으로 제조된 경우 렌즈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Dk/t가 감소할 수 있으나 다른 제조 방식의 경우 컬러 착색이 렌즈 산소 투과 및 전달에 특별히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ref>Benjamin W. EOPs of tinted lenses. Contact Lens Spectrum 1986;1:12-6.</ref>. | |||
=== 교체 주기 === | |||
미용 렌즈는 대부분 필요할 때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일회용 렌즈가 더 편리할 수 있다. | |||
=== 단백질 침착 === | |||
일회용 렌즈가 아닌 장기 사용하는 컬러 CL의 경우 단백질 침착은 역시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일부 색소 유착 과정에서 렌즈 표면의 전하가 바뀌게 되면 단백질 침착을 야기할 수 있다<ref>Lowther G. A review of transparent hydrogel tinted lenses. ''Contax'' 1986;6-9.</ref>. 이는 결과적으로 시력 저하나 불편감,건조감 증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
=== 불편감 및 건조증 === | |||
렌즈에 색을 입히는 과정에서 렌즈 표면의 화학적 특성이 변하는데,이는 표면 습윤성을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건조감을 야기할 수 있다<ref>Daniels K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dot matrix hydrogel tinted lenses. Contact Lens Spectrum 1989;4:69-71</ref>. 또한 컬러 부분 표면의 거칠기는 착용 시 불편감을 야기할 수 있고<ref>Steffen RB et al. Clear vs opaque SCL : Initial comfort comparison. ''Int Contact Lens Clin'' 1993;20:184-6.</ref>, 세균 유착을 높일 수 있다<ref>Chan KY et al. Microbial adherence to cosmetic CLs. ''Cont Lens Anterior Eye''. 2014 Aug;37(4):267-72. [https://pubmed.ncbi.nlm.nih.gov/24440107/ 연결]</ref>.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