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임상 양상 |
잔글 →시술, 수술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들기 때문에 눈물은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로 인한 물의 이동으로 상피 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상피의 부착력이 약해진다.5 야간 수면 중에는 눈물 |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들기 때문에 눈물은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로 인한 물의 이동으로 상피 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상피의 부착력이 약해진다.5 야간 수면 중에는 눈물 | ||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급속 눈운동 수면 (REM sleep) 은 상피세포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으며<ref>Bernauer W et al. PTK in RCE refractory to other forms of treatment. ''Eye (Lond)''. 1996;10 ( Pt 5):561-4. [https://pubmed.ncbi.nlm.nih.gov/8977782/ 연결]</ref>, 이른 아침 REM 수면 중 일어나는 홱보기 (saccades) 는 [[각막 이상증]]이나 미세 외상이 있는 경우 상피 손상을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ref>Hoffmann F et al. REM-Schlaf und rezidivierende Erosio cornae - eine Hypothese [REM sleep and recurrent corneal erosion - a hypothesis]. ''Klin Monbl Augenheilkd''. 2003 Jan-Feb;220(1-2):51-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12678005/ 연결]</ref>. 각막 노출 혹은 야간 수면 중 눈이 떠지는 경우 (nocturnal |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급속 눈운동 수면 (REM sleep) 은 상피세포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으며<ref>Bernauer W et al. PTK in RCE refractory to other forms of treatment. ''Eye (Lond)''. 1996;10 ( Pt 5):561-4. [https://pubmed.ncbi.nlm.nih.gov/8977782/ 연결]</ref>, 이른 아침 REM 수면 중 일어나는 홱보기 (saccades) 는 [[각막 이상증]]이나 미세 외상이 있는 경우 상피 손상을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ref>Hoffmann F et al. REM-Schlaf und rezidivierende Erosio cornae - eine Hypothese [REM sleep and recurrent corneal erosion - a hypothesis]. ''Klin Monbl Augenheilkd''. 2003 Jan-Feb;220(1-2):51-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12678005/ 연결]</ref>. 각막 노출 혹은 야간 수면 중 눈이 떠지는 경우 (nocturnal lagophthalmos) 역시 RCE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ref>Sturrock GD. Nocturnal lagophthalmos and recurrent erosion. ''BJO''. 1976 Feb;60(2):97-103. [https://pubmed.ncbi.nlm.nih.gov/1268178/ 연결]</ref>. | ||
[[MMP|기질 금속단백 분해효소]] (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상피 유착 복합체를 분해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 MMP-2와 MMP-9으로 구성된 젤라틴 분해효소 (gelatinase) 는 바닥막의 주요 구성 요소인 4, 7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분해하며, 외상성 각막 찰과상과 RCE를 경험한 환자의 이환된 눈과 반대안에서 채취한 눈물 중에 포함된 MMP-2와 MMP-9의 농도가 대조안에 비해 높아져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ref>Sakimoto T et al. Upregulation of MMP in tear fluid of patients w RCE. ''Jpn J Ophthalmol''. 2007 Sep-Oct;51(5):343-346. [https://pubmed.ncbi.nlm.nih.gov/17926110/ 연결]</ref>. MMP의 증가는 바닥막을 붕괴하며 상피 바닥막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다. Hope 등<ref>Hope-Ross MW et al. RCE : clinical features. ''Eye (Lond)''. 1994;8 (Pt 4):373-7. [https://pubmed.ncbi.nlm.nih.gov/7821454/ 연결]</ref>은 치료가 어려운 RCE 환자 전원에게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있으며 마이봄샘의 위축과 | [[MMP|기질 금속단백 분해효소]] (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상피 유착 복합체를 분해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 MMP-2와 MMP-9으로 구성된 젤라틴 분해효소 (gelatinase) 는 바닥막의 주요 구성 요소인 4, 7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분해하며, 외상성 각막 찰과상과 RCE를 경험한 환자의 이환된 눈과 반대안에서 채취한 눈물 중에 포함된 MMP-2와 MMP-9의 농도가 대조안에 비해 높아져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ref>Sakimoto T et al. Upregulation of MMP in tear fluid of patients w RCE. ''Jpn J Ophthalmol''. 2007 Sep-Oct;51(5):343-346. [https://pubmed.ncbi.nlm.nih.gov/17926110/ 연결]</ref>. MMP의 증가는 바닥막을 붕괴하며 상피 바닥막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다. Hope 등<ref>Hope-Ross MW et al. RCE : clinical features. ''Eye (Lond)''. 1994;8 (Pt 4):373-7. [https://pubmed.ncbi.nlm.nih.gov/7821454/ 연결]</ref>은 치료가 어려운 RCE 환자 전원에게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있으며 마이봄샘의 위축과 소실, 눈물막 파괴 시간 감소, 눈물층 내 조직 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 ||
== 역학 == | == 역학 == |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AS-OCT) === |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AS-OCT) === |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AS-OCT]] 에서는 RCE의 급성기에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 상피 부종, 상피의 불규칙한 파열 등의 소견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와 함께 상피 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봉입체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ref>Diez-Feijóo E et al. OCT findings in RCE syndrome. Cornea. 2015 Mar;34(3):290-5. [https://pubmed.ncbi.nlm.nih.gov/25532997/ 연결]</ref>. AS-OCT의 각막 상피 지도에서는 상피 부착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두터워진 상피 부위를 따라 상피 두께가 의미 있게 변한 소견을 보일수 있다<ref>Oikonomakis K et al. Epithelial map-guided anterior stromal micr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RCE syndrome. ''Int Ophthalmol''. 2019 Apr;39(4):943-948. [https://pubmed.ncbi.nlm.nih.gov/29557084/ 연결]</ref>.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AS-OCT]] 에서는 RCE의 급성기에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 상피 부종, 상피의 불규칙한 파열 등의 소견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와 함께 상피 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봉입체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ref>Diez-Feijóo E et al. OCT findings in RCE syndrome. Cornea. 2015 Mar;34(3):290-5. [https://pubmed.ncbi.nlm.nih.gov/25532997/ 연결]</ref>. AS-OCT의 각막 상피 지도에서는 상피 부착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두터워진 상피 부위를 따라 상피 두께가 의미 있게 변한 소견을 보일수 있다<ref>Oikonomakis K et al. Epithelial map-guided anterior stromal micr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RCE syndrome. ''Int Ophthalmol''. 2019 Apr;39(4):943-948. [https://pubmed.ncbi.nlm.nih.gov/29557084/ 연결]</ref>. | ||
=== 동일 초점 현미경 (CFM) === | |||
외상과 관련한 | 외상과 관련한 RCE에서 보이는 CFM 소견으로는 각막 상피세포의 변형, 앞기질 내 활성화된 각막 기질세포, 염증을 동반한 중간 기질 내 각막 기질세포 등이 있다<ref>Chikama T et al. In vivo biopsy by laser CFM for evaluation of traumatic RCE. ''Mol Vis''. 2008;14:2333-9. Epub 2008 Dec 15. [https://pubmed.ncbi.nlm.nih.gov/19093010/ 연결]</ref>. Rosenberg 등은 RCE 혹은 EBMD 환자에서 보이는 CFM 소견에 대해 연구했고, 두 질환 모두 상피 바닥막세포 내 침착물, 상피 바닥막세포 변화 (돔 모양 배열, 선상, 혹은 능선), 바닥밑 미세 주름과 선, 손상된 바닥밑 신경, 혹은 앞 각막 기질의 형태학적 변화 (활성화된 앞 각막 기질세포) 를 보였다<ref>Rosenberg ME et al. In vivo confocal microscopy of patients w RCE syndrome or EBMD. ''Ophthalmology''. 2000 Mar;107(3):565-73. [https://pubmed.ncbi.nlm.nih.gov/10711897/ 연결]</ref>. 짧아지거나 이상하게 생긴 신경섬유 다발, 긴 신경섬유 다발의 수적 감소, 희미하게 보이는 긴 신경섬유 다발, 랑게르한스 세포 증가는 바닥밑 신경총의 병적 변화를 시사하는 소견이다. | ||
등은 | |||
보이는 | |||
모두 | |||
(돔 모양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 75번째 줄: | 67번째 줄: | ||
== 시술, 수술 == | == 시술, 수술 == | ||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 새롭고 단단한 유착 복합체 형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수술적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ref>McGrath LA et al. Techniques, 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of corneal debridement. ''Surv Ophthalmol''. 2014 Jan-Feb;59(1):47-63. [https://pubmed.ncbi.nlm.nih.gov/24239444/ 연결]</ref>. 짓무름의 빈도와 심한 정도, [[각막 이상증]]을 포함한 각막질환 여부, 짓무름의 원인과 위치, 환자의 요구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 |||
=== 앞기질 미세 천자 === | |||
* 죽은 조직 제거술 : 세극등 현미경에서 점안 마취 하에 면봉이나 끝이 뭉툭한 기구로 쉽게 시행할 수 있다. 부착이 약하고 늘어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보우만층이나 더 깊은 기질을 변형시키지 않아 부착력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효과는 적다. | * 죽은 조직 제거술 : 세극등 현미경에서 점안 마취 하에 면봉이나 끝이 뭉툭한 기구로 쉽게 시행할 수 있다. 부착이 약하고 늘어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보우만층이나 더 깊은 기질을 변형시키지 않아 부착력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효과는 적다. | ||
* [[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 : 알코올 또는 다이아몬드 드릴 사용 | * [[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 : 알코올 또는 다이아몬드 드릴 사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