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전부 기질 천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원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986년 McLean 등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진무름 환자에서 20게이지 곧은 주사침으로 상피를 통과해 전부 기질에 여러 개의 얕은 천자를 가한 효과를 보고하고, 이 기법을 '''전부 기질 천자 (anterior stromal puncture; ASP)'''{{각막}} 로 명명했다. 천자 깊이를 일정하게 하고 불필요한 반흔 형성을 막으며 천자의 재현성을 높이는 각막 미세 천공을 위한 저렴한 일회용 기구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구들은 사체와 임상 연구를 통해 곧은 주사침을 이용한 전부 기질 천자와 비슷한 성공률을 보였고, 천공이 거의 없이 균일하고 반흔이 없는 얕은 천자가 가능함이 검증되었다.
1986년 McLean 등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진무름 환자에서 20게이지 곧은 주사침으로 상피를 통과해 전부 기질에 여러 개의 얕은 천자를 가한 효과를 보고하고, 이 기법을 '''전부 기질 천자 (anterior stromal puncture; ASP)'''{{각막}} 로 명명했다. 천자 깊이를 일정하게 하고 불필요한 반흔 형성을 막으며 천자의 재현성을 높이는 각막 미세 천공을 위한 저렴한 일회용 기구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구들은 사체와 임상 연구를 통해 곧은 주사침을 이용한 전부 기질 천자와 비슷한 성공률을 보였고, 천공이 거의 없이 균일하고 반흔이 없는 얕은 천자가 가능함이 검증되었다.
== 원리 ==
== 원리 ==
천자 후 천자된 공간을 상피가 채우게 되고 완전한 부착 복합체가 형성될 때까지 마치 점 용접에서와 같이 느슨한 상피판을 아래쪽의 기질에 붙여주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제기된 바 있다. Katsev 등은 0.1mm 깊이의 천자를 통해 섬유화가 촉진되고 새로운 바닥막이 형성됨을 보고했다. Hsu 등은 수포 각막병증 환자에서 기질 천자 후 시행한 전자 현미경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천자 부위 및 인접한 판누스 조직에서 섬유 결합소, 4형 아교질, laminin이 발견되었고 각막 상피가 결합 조직에 부착함에 있어 이러한 세포외 기질의 생산이 중요함을 보고한 바 있다.
천자는 미세한 상피밑 반흔을 형성하고 상피와 아래 기질 간의 단단한 유착이 일어나게 한다. 이러한 치료 기전은 천자 부위와 그와 인접한 반응성 상피밑 판누스에서 상피가 아래 기질에 부착하는 데 중요한 세포바깥 바탕질 단백질 (섬유 결합소, 4형 아교질, 라미닌) 의 생산이 유도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며, 전자 현미경과 면역조직 화학염색<ref>Hsu JK et al. ASP. IHC studies in human corneas. ''Arch Ophthalmol''. 1993 Aug;111(8):1057-63. [https://pubmed.ncbi.nlm.nih.gov/8352688/ 연결]</ref>을 통해 확인되었다<ref>Katsev DA et al. RCE : pathology of corneal puncture. ''Cornea''. 1991 Sep;10(5):418-23. [https://pubmed.ncbi.nlm.nih.gov/1935141/ 연결]</ref>.


== 효과 ==
== 효과 ==
18번째 줄: 18번째 줄:
=== 시술 전 ===
=== 시술 전 ===
통상적으로 점안 마취 후 세극등 하에서 시행한다.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시술 전 예방적 항생제를 점안하며, 형광 염색은 시술 중 치료 범위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통상적으로 점안 마취 후 세극등 하에서 시행한다.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시술 전 예방적 항생제를 점안하며, 형광 염색은 시술 중 치료 범위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시술 ===
눈벌리개를 거치하고 구
부린 23 혹은 25게이지의 주삿바늘로 각막에 부분천자
(각막기질의 약 10-20% 깊이 혹은 0.1mm)를 시행한다. 굵
은 주삿바늘은 구부리기 힘들고 30게이지 주삿바늘은
제어하기 힘들다.36 곧은 주삿바늘을 사용할 수도 있으
나 각막천공의 위험성이 증가한다.35 끝 부근의 사면을
구부린 짧은(5/8인치) 주삿바늘을 ImL 주사기에 장착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다.36 구부러
진 바늘 끝은 천공을 시행하는 동안 각막면과 수직이 되
게 유지한다. 각각의 천공은 0.5~1.0mm 간격으로 가까
이 위치해야 하나 서로 맞닿아서는 안 되며,짓무름 경
계 밖 1〜2mm까지 시행한다. 느슨한 각막상피는 때때
로 역반사조명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보통 세극등현미경
에서 보이는 짓무름의 경계보다 넓기 때문에 치료 범위
에 정상으로 보이는 각막도 포함해야 한다. 표준화된 주
삿바늘로 동공 부위에 시술한다 하더라도 객관적,주관
적 눈부심검사에서 이상이 보고되지는 않았지만37 동공
부위의 치료는 가급적 최소화해야 한다.


== 시술 방법 ==
== 시술 방법 ==